2024.07.29 (월)

  • 구름많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33.5℃
  • 흐림서울 27.6℃
  • 구름많음대전 31.7℃
  • 구름조금대구 35.1℃
  • 맑음울산 35.0℃
  • 구름많음광주 31.0℃
  • 맑음부산 31.4℃
  • 맑음고창 31.6℃
  • 구름조금제주 32.9℃
  • 구름많음강화 25.9℃
  • 구름많음보은 29.7℃
  • 맑음금산 30.8℃
  • 구름조금강진군 32.3℃
  • 맑음경주시 35.7℃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설레는 한해의 시작, 福 부르는 세시풍속 즐겨보세요

 

기록으로 볼때 신라 때부터 행해진 국가형태 관습

차례 후 세배·덕담…건강과 안녕 기원하는 풍습

섣달그믐 무렵 연날리기로 놀이 시작

윷놀이·널뛰기 등 세시풍속 집중



‘섣달 그믐날 밤 잠자면 눈썹 센다’ 등

속신 다양… 복조리도 속신

◇설의 유래

1월 1일인 정월 첫날을 일컬어 ‘설’이라 한다. 한자어로 연수(年首), 세수(歲首), 원단(元旦)이라 한다. ‘설’의 뜻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다. 설을 가리켜 신일(愼日)이라고 일컫는 한자 이름을 들어 “말이나 행동을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라 풀이하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낯설다’의 ‘설다’에서 설의 뜻을 찾기도 한다.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우리나라의 설에 대한 최초의 구체적인 기록은 7세기에 나온 중국의 역사서에 나타난다. ‘수서’와 ‘구당서’의 신라 관련 기록에는 왕권 국가로서의 설날의 면모가 잘 나타난다. 즉 “매년 정월 원단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인다. 이날 일월신을 배례한다”는 기록에서 국가 형태의 설날 관습을 엿볼수 있다.

설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는데, 이를 ‘정조차례(正朝茶禮)’라 한다. 차례를 지낸 다음 가족끼리 세배를 하고 새해 덕담을 나눈다. 이는 한해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뜻이다.

기록으로 볼 때, 설은 신라 때부터 행해왔으며, 고려시대에는 9대 속절(俗節)의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4대 명절의 하나로 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절기나 명절보다 중히 여긴 것은 설이 한해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설날 꼭두새벽에 거리에 나가서 소리를 듣고 점을 치는 풍속이 있었다. 이를 청참(聽讖)이라 하는데, 전국적으로 행했다. 예컨대, 이 때 까치소리를 들으면 좋은 조짐이고 까마귀 소리를 들으면 불길하다고 여겼다. 또 소가 먼저 거동하면 풍년이 들고, 개가 먼저 짖으면 도둑이 심하다고 믿었다. 모두 새해에 대한 기대와 앞날에 대한 호기심의 표현이다.





◇설 의복과 음식

설날에 입는 옷을 ‘설빔’이라 한다. 설날에 무색(물색, 색깔이 있는) 옷을 입는데 특히 어린이들은 색동저고리를 입는다.

설에 먹는 절식으로 우선 꼽히는 것은 떡국이다. 떡국의 기본 재료는 가래떡이다.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에 대해 상세히 기록돼 있다. “멥쌀가루를 쪄서 안반 위에 놓고 자루달린 떡메로 무수히 쳐서 길게 만든 떡을 흰떡(白餠)이라 한다. 이것을 얄팍하게 돈같이 썰어 장국에다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끓인 다음 고춧가루를 친 것을 떡국(餠湯)이라 한다. 시장에서는 시절음식으로 이것을 판다”고 전하고 있다.

이밖에도 세찬(歲饌)이 있다. 세찬은 차례상에 오르고 명절식으로 시식하는 음식이다. 여기에 시루떡이 쓰이는데 고사를 지낼 때에는 붉은 팥시루떡을 쓰지만 차례를 지낼 때에는 붉은색이 조상을 쫓는다하여 거피를 낸 팥을 사용해 떡을 찐다. 이 밖에 인절미, 전유어, 빈대떡, 강정류, 식혜, 수정과 등도 세찬으로 장만한다. 세주는 맑은 청주인데 역시 차례상에 오르고 산뜻한 봄을 맞는다는 의미에서 차례를 지낸 후 가족들이 함께 마신다.



◇설의 놀이

설의 놀이는 섣달그믐 무렵부터 시작된다. 연날리기는 섣달그믐 무렵에 시작해 대보름까지 즐긴다. 보름날의 연은 액연(厄鳶)이라 하여 멀리 날려보낸다. 원래 보름날 이후에는 연을 날리지 않는다. 그 밖에 설날 무렵 윷놀이·널뛰기·승경도놀이·돈치기 등을 한다. 윷놀이는 남녀노소 구별 없이 모든 사람이 집 안에서도 하고 밖에서도 마을 사람들이 어울려 하는 정초의 가장 보편적인 놀이다. 윷의 종류도 장작윷과 밤윷이 있고 놀이 방법도 다양하다. 윷놀이를 통해 그해 운수를 점쳐 보기도 한다. 또한 정초에 널을 뛰면 그해에 발에 좀(무좀)이 슬지 않는다고 해 널뛰기를 하는 풍습도 있다.

이처럼 설을 전후해 세시풍속이 집중돼 있는 까닭은 정월이 농한기인데다 한 해가 시작되는 신성한 기간이기 때문이다. 신성한 기간에는 인간의 기원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이 반영돼 있다.



◇속신

설을 전후해 세시풍속이 다양한 만큼 속신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섣달 그믐날 밤에는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는 속신이 있어 잠을 자지 않는다.

또한 설날에는 세찬의 대표적인 음식인 떡국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먹는다고 했다. 그래서 떡국을 먹지 않으면 나이를 먹을 수 없다는 속설도 있다. 복을 끌어 들인다는 복조리 풍속도 속신으로 볼 수 있다.

설날 밤에는 야광귀라는 귀신이 하늘에서 내려와 신발을 신어보고 맞으면 신고 가는데 신발을 잃은 사람은 그해에 재수가 없다고 한다. 이를 막기 위해 신발을 감추거나 엎어 놓는다.<자료제공=국립민속박물관>

/민경화기자 mkh@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