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만 광명 시민을 대표하는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건설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19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이들은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건설사업에 대해 광명시 구간(원광명마을~두길마을)을 당초 주민설명회 때 약속했던 지하차도로 건설하지 않고 지상으로 건설하려는 계획에 강한 분노와 배신감을 느낀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향후 광명시민단체협의회, 광명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회, 공공주택지구대책위 등 각 46개 단체의 공동대표를 중심으로 강력하게 항의할 계획이다.
대책위에 따르면 당초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그리고 사업시행자인 서서울고속도로㈜는 지난 2010년 보금자리주택지구가 발표되면서 보금자리주택 건설에 장애가 되는 고속도로를 지하화해 건설하기로 합의, 광명7동 원광명마을부터 광명6동 옥길동에 인접한 부천시 경계까지 지하차도로 건설키로 약속했다.
이후 2012년 9월, 서서울고속도로㈜는 국토부와 사업실시협약을 체결했고, 실시설계를 완료해 다음해인 2013년 4월 환경영향평가(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를 학온동 주민센터에서 개최했다. 당시에만 해도 이들은 원광명마을부터 옥길동까지의 도로를 지하차도로 건설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주민들에게 이를 설명했고, 2014년까지 지하차도 건설계획은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정부의 잘못된 주택공급 정책으로 공공주택지구(구 보금자리지구)가 해제(2015.4.21)됨에 따라 LH에서 지하차도 건설비용에 대한 분담금 부담을 거부했고, 서서울고속도로㈜와 국토부는 분담금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다가 고속도로 건설계획을 지상으로 변경했다.
만약 고속도로가 지상(토공)으로 건설될 경우 제2경인고속도로와 같이 광명시는 남북으로 생활권이 단절되게 된다.
또 도시개발이 제한돼 2.5배 추가확장하는 도시개발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뿐 아니라 도시경관을 저해해 도심 흉물로 자리잡게 될 전망이다.
이밖에도 지상으로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원광명 마을은 뒤로는 도덕산에, 앞으로는 고속도로(토공높이: 10m, 방음벽 5m)에 가로막혀 기습 폭우에는 침수피해가 예상되고 한 여름에는 바람이 차단되어 열대야에 시달리는 등 극심한 환경피해가 예측되고 있다.
이에 범시민 대책위원회는 “민자고속도로 기존계획을 무리하게 변경하라고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당초 국토부가 35만 광명 시민에게 약속한 대로 지하차도 건설을 그대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광명=장순철기자 j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