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광명~서울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시행사인 서서울고속도로㈜의 수질오염물질 배출부하량 재할당 요청에 대해 배출부하량 추가 할당이 어렵다고 통보하면서 광명~서울 고속도로의 사업추진이 불투명해졌다.
2일 시에 따르면 당초 서서울고속도로㈜는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사업 추진에 따라 광명~서울 고속도로 노선 중 광명시를 통과하는 구간을 우회·지하화하는 것으로 수질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을 할당 받아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해제 후 국토교통부와 사업시행사가 광명시와 지역주민의 의견수렴 및 협의절차 없이 노선을 지상화로 변경하자 시는 지상화할 경우 지하화보다 수질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이 증가해 수질악화 등 환경이 급격히 악화될 것으로 판단하고는 배출부하량 추가할당이 어렵다고 통보했다.
지난 2013년 6월부터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지역으로 선정된 광명시 전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등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사업 추진 시 사업시행자가 사전에 수질오염물질 배출총량을 할당 받아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배출부하량 추가 할당의 어려움으로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광명∼서울 고속도로가 당초 지하차도가 아닌 지상에 건설될 경우 생태계 훼손, 수질악화, 극심한 소음진동, 매연 등으로 주민들의 생활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시행사인 서서울고속도로㈜에 기 할당한 수질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을 준수하도록 강력히 촉구했다”고 밝혔다.
/광명=장순철기자 j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