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때 ‘대가’ 치르게 된다

낯선 존재에 대한 이기적인 배척
지키지 않은 약속이 공포의 원천
민간신앙 상상력이 돋보인 호러

 

손님

장르 : 판타지/호러

감독 : 김광태

배우 : 류승룡/이성민/천우희/이준

1950년대, 떠돌이 악사 우룡(류승룡)과 영남(구승현) 부자는 서울로 가던 길에 우연히 지도에도 나오지 않는 외진 산골마을인 풍곡리에 들어선다.

시끄러운 바깥세상과 달리 촌장(이성민)의 강력한 지도아래 모든게 평화롭고 풍족한 마을이지만 이 곳의 단 하나의 골칫거리는 시도 때도 없이 출몰하는 쥐떼들이다.

우룡과 만난 촌장은 쥐떼를 쫓아주면 영남이의 폐병을 고칠 목돈을 준다고 약속하고, 우룡은 피리를 불어 쥐떼를 쫓아낸다.

하지만 촌장은 우룡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이후 마을의 비밀이 하나씩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우룡과 마을 사람들은 이상한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손님’은 외부에서 온 사람을 뜻하는 말로, 날짜에 따라 네 방향으로 돌아다니며 인간 생활을 방해하는 귀신인 ‘손’에 님자를 붙인 말이다. 큰 일을 치를 때 ‘손 없는 날’을 골라 행하는 전통이 남아있을 정도로 민간신앙에서는 ‘손’이 두려움의 대상으로 인식된다.

영화에서는 마을에 초대없이 들어선 손님 우룡을 불길한 존재로 인식하는 마을사람들과 미스터리한 사건이 이어지면서 공포가 시작된다.

더불어 영화는 독일의 민간 전설인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에서 소재를 가져왔다. 쥐떼를 없애주면 금화를 주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자 피리를 불어 아이들을 데리고 사라진다는 피리부는 사나이 이야기는 약속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손님’에서도 쥐를 없애주면 아들의 병을 고칠 돈을 주겠다는 약속이 이행되지 않는 순간, 판타지를 넘어 음산한 공포로 이어지며 낯선 존재에 대한 이기적인 배척과 지켜지지 않은 약속이야말로 큰 공포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김광태 감독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때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것이 이 영화의 애초 기획 의도이며 이를 통해 현대를 사는 이들에게 서늘하고 묵직한 공포를 전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영화 ‘손님’은 중량감 있는 두 배우 류승룡과 이성민이 출연한다. ‘광해’(2012), ‘내 아내의 모든 것’(2012), ‘7번방의 선물’(2013) 등 다양한 캐릭터로 사랑을 받아온 류승룡은 피리부는 사나이로 변신해 웃음과 공포를 오가는 입체적인 캐릭터를 창조해 낸다.

‘부당거래’(2010), 드라마 ‘미생’ 등에서 존재감 있는 연기를 선보인 이성민은 마을의 절대 권력자인 촌장으로 분해 차가운 카리스마를 선보인다.

충무로가 주목하는 여배우 천우희는 무당 ‘미숙’을 연기한다. 무당노릇을 강요 받는 젊은 과부를 연기한 그는 마을사람들로 타박을 받으며 직접 공포를 전달하는 모습을 연기해 관객의 시선을 모은다.

이방인에 대한 두려움과 약속의 중요성이 만나 완성된 영화 ‘손님’은 판타지 호러라는 독특한 장르를 탄생시키며 색다른 공포를 선사한다.

/민경화기자 mk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