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오는 14일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로 공석이 된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키로 한 가운데 합의 추대로 선출될 경우 4선의 원유철(평택갑) 현 정책위의장이 유력한 것으로 9일 전해졌다.
김무성 대표 등 최고위원들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합의 추대 방식으로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합의 추대를 하자는 것에 (최고위원들이) 뜻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다만 김 대표는 회의 직후 차기 원내대표를 합의 추대 방식으로 선출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선출 방식은) 의원총회에서 합의를 봐야 한다”며 “최고위원들의 의견만 있을 따름이지 결정된 사항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당장 일주일 안에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하는 만큼 이날 차기 원내대표 선출 준비에 공식적으로 착수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서상기(위원장) 김회선 염동열 정용기 신경림 이운룡 문정림 의원 등 총 7인으로 구성된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선출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첫 회의를 열었다.
당규상 원내대표가 임기 중 사퇴 또는 사고로 인해 궐위되면 그날로부터 7일 안에 의총에서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또 유 전 원내대표와 러닝메이트였던 원 정책위의장도 함께 물러나는 만큼 정책위의장도 새로 뽑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기 원내대표가 실제 합의 추대로 선출될 경우 친박계와 비박계 인사를 두루 어우를 수 있는 계파 색이 강하지 않은 인사 중심으로 새누리당 원내대표 하마평이 나오고 있다.
우선 일각에서는 원내지도부 교체로 인한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원 정책위의장을 추대하는 게 적절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어 1년도 채 남지 않은 내년 20대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당의 취약 지역인 수도권에서 중진 의원이 원내대표를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에 원 정책위의장과 함께 수도권 4선의 심재철(안양 동안을) 의원과 3선 홍문종(의정부을) 의원 등이 거론된다.
이 밖에 친박 핵심으로 분류되는 4선의 이주영(경남 창원을)과 3선의 정우택(충북 청주 상당) 의원, 비박계인 4선의 정병국(여주·양평·가평) 의원과 3선의 장윤석(경북 영주) 의원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하지만 총선을 불과 1년 앞두고 공석이 된 원내대표직에 도전장을 내려는 의원들이 적지 않은 분위기여서, 경선을 통해 차기 원내대표가 선출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대두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