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9일 국가정보원의 민간인 스마트폰 해킹 의혹과 국가정보원 직원 자살 등에 대해 각기 다른 반응을 나타냈다.
우선 새누리당은 국가정보원의 민간인 스마트폰 해킹 의혹에 대해 “사실 관계 확인부터 해야 한다”며 정쟁화를 경계했다.
김영우(포천·연천)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정치권은 국정원과 관련된 이슈만 불거지면 무조건 의혹부터 제기하고 압박하기 일쑤인데 차분하게 기다리면서 사실 관계 확인부터 하는 것이 순서”라면서 “정치권은 진중함과 인내심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국정원 직원이 억울함을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데 대해서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로서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면서 “최근 정치권이 국정원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이 더 크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국가기관과 일반 국민의 정보가 해킹되면 국가의 파국과 국민의 안전이 위기에 처하게 된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정치권이 국정원의 손발을 묶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국가정보원 직원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관련,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안철수 국민정보지키기 위원장은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국정원의 사찰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관련 직원의 돌연한 죽음은 또다른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며 “고인의 죽음은 안타깝지만 정말 의아해하지 않을 수 없다. 고인이 스스로 목숨을 버린 이유가 무엇인지 수사당국은 한점 의혹없이 국민에 밝혀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또 “언론보도 이후 국정원 내부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국민은 궁금해한다”며 “고인이 죽음에 이른 이유에 대한 규명없이 국민 의혹은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