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벤처기업 M&A·투자유치 지원책 ‘빈수레’

수도권 1만6494개 업체 중 M&A 경험 2.5%에 불과
96.8% 투자 유치 시도조차 못해… 대책 현실화 절실

중소기업청 등의 벤처기업을 위한 M&A(인수합병) 및 투자유치 성과가 바닥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 벤처기업 대부분은 금융자본 유치 경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지원정책의 시급한 개선이 요구된다.

24일 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중소기업청은 중소·벤처기업의 자생적인 M&A시장 형성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전용 M&A 지원센터 5곳을 운영중이다.

현재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사)벤처기업협회 ▲삼일회계법인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이 지정돼 운영중이다.

이들 기관은 M&A 절차 상담, CEO 교육, 기업실사 분석, 계약서 작성, 설명회 개최, 기타 법률상담 등을 지원하고 있다.

성장기업과 창업자가 군살을 빼고 서로의 발전을 위한 성장동력에 힘을 모아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게 당초 취지다.

하지만 지원대상 기업 10곳 중 9곳은 M&A나 금융자본(벤처캐피탈) 유치 경험이 한차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중기청의 ‘2015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 결과 경기지역 등 수도권 벤처기업 1만6천494개 업체 중 M&A 경험이 있는 곳은 2.5%(412개)에 불과했다.

금융자본 투자 유치 경험이 있는 업체도 전체의 3.2%에 그쳤으며, 이 중 0.1%는 도중 실패로 끝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96.8%는 자본투자 유치를 아예 시도조차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력은 있지만 경영 노하우가 부족해 정부기관에 도움을 기댄 벤처기업으로선 별 재미를 못 본 셈이다.

이는 주무관청인 중기청이 상담, 교육, 설명회 등 판에 박힌 행정지원에 안주한데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대표 서 모(수원 이의동·41) 씨는 “교육, 상담, 기업진단 수수료 지원같은 전시성 행정보다 벤처 및 창업기업의 재무상황과 경영성과를 충분히 고려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중기청 관계자는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자생적인 M&A시장 형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은 물론 벤처·창업자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