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4명 이상이 노키즈존(No Kids Zone)을 과잉조치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즈존은 다른 손님에 대한 배려와 안전사고 우려로 영유아를 동반한 고객의 출입을 제한하는 카페나 음식점 등을 말한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1~2일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바일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0%) 결과를 토대로한 ‘노키즈존 확산, 어떻게 볼 것인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93.1%가 공공장소에서 소란스런 아이들이나 우는 아이들로 인한 불편을 경험했다.
불편을 경험한 장소는 카페나 음식점이 7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응답자의 44.4%는 노키즈존이 업주의 영업상 자유에 해당한다고 응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22.8%였다.
아이의 기본권 침해에 해당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29.2%, 그저 그렇다 36.0%, 그렇지 않다 34.8%로 그렇지 않다는 견해가 다소 우세했다.
이에 반해 과잉조치에 해당하느냐는 질문에는 절반에 가까운 46.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23.4%였다.
이와 함께 응답자 63.5%는 고객으로서 소란스런 아이들로부터 방해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51.4%는 아이의 기본권보다 고객의 행복추구권이 우선이라고 각각 답했다.
김도균 연구위원은 “노키즈존이 영업상 자유일 수는 있으나 어린이를 잠재적 위험 집단으로 간주해 사전 차단한다는 점에서 기본권 침해의 소지가 있다”며 “노키즈존 운영과 관련한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공공장소 예절교육을 강화하고 인성테마파크를 활용한 체험학습형 인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