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구름조금동두천 1.6℃
  • 맑음강릉 5.0℃
  • 맑음서울 2.9℃
  • 맑음대전 4.3℃
  • 맑음대구 5.0℃
  • 맑음울산 4.4℃
  • 흐림광주 4.7℃
  • 맑음부산 7.8℃
  • 구름많음고창 3.6℃
  • 제주 10.7℃
  • 맑음강화 3.1℃
  • 맑음보은 3.6℃
  • 구름많음금산 3.9℃
  • 구름많음강진군 7.4℃
  • 맑음경주시 5.0℃
  • 맑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명지대, 플라스틱 효율적 생산 대장균 최초 개발

박시재 교수 연구논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게재

 

명지대학교는 8일 박로시재(사진)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의 ‘대장균에의 당질을 이용한 폴리락테이트-co-글라이콜레이트의 한단계 발효 생산(One-step fermentative production of poly(lactate-co-glycolate) from carbohydrates in Escherichia coli)’ 연구논문이 ‘Nature Biotechnology X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KAIST 최소영 연구원을 비롯 이상엽 특훈교수와 함께 수행한 이 논문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바이오리파이너리를 위한 시스템대사공학 원천기술개발 사업’ 연구를 통해 추진됐다.

이번 연구로 그동안 생명체를 이용해서는 만들 수가 없었던 비천연(non-natural) 고분자인 PLGA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규 플라스틱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장균이 최초로 개발됐다.

이를 통해 기존의 화학합성 공정을 통해서만 생산이 가능하던 PLGA를 친환경적, 지속가능한 바이오 기반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명지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의료용 고분자로서 널리 활용되는 PLGA와 같은 비천연 고분자를 처음으로 미생물 대사공학에 의해 만들 수 있다는 전략을 제공해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 대사공학 원천전략은 앞으로 다양한 비천연 고분자들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영재기자 cyj@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