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은 세계적 IT기업 구글과 손잡고 경기도의 다양한 문화유산과 예술작품들을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Google Cultural Institute, www.google.com/culturalinstitute) 사이트를 통해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구글은 지난 2011년부터 전 세계 문화예술기관을 대상으로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를 진행, 기가픽셀, 스트리트 뷰 등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의 문화유산을 감상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구글과 협약을 맺고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던 경기문화재단은 경기도박물관, 백남준아트센터, 경기도어린이박물관 등 재단 산하 기관과 협력해 총 9개 기관의 콘텐츠를 30여건의 온라인 전시로 선보인다. 더불어 소장 예술품, 문화유적, 예술프로젝트 등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웹사이트를 통해 1천여개의 콘텐츠를 공개한다.
특히 구글은 2018년 경기 천년을 앞두고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드 웹사이트에 ‘경기 천년의 예술과 역사’ 프로젝트 페이지(g.co/gyeonggiculture)를 신설해 경기도의 1천년 시간을 대변하는 문화자산을 별도로 소개하고 경기도만의 특별한 정체성을 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한국과 동아시아 지역의 구석기 문화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전곡리 구석기 유적’전부터 ‘600년 경기도 개관’, ‘600년 경기도 전통 문화’, ‘남한산성 유형문화재 - 지정 문화재’, ‘실학의 형성과 전개, 천문과 지리’전 등 한국 역사의 중심지로서 경기도를 소개할 뿐 아니라 경기도미술관의 ‘경기팔경과 구곡’전, 경기창작센터의 황금산 프로젝트인 ‘예술선감’, ‘아지타트’전 등 현대 작가들의 활발한 문화 예술 활동의 거점인 경기도를 보여준다. 주요 콘텐츠로는 경기도박물관, 백남준아트센터, 실학박물관, 전곡선사박물관, 경기도어린이박물관, 남한산성을 스트리트 뷰로 촬영해서 360° 이미지로 구현해 직접 유적지를 거니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스트리트 뷰 콘텐츠’(박물관 보기), 초고화질 사진 기술을 통해 한국의 회화작품 4점을 찍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세밀한 부분까지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는 ‘기가픽셀 콘텐츠’, 선생님과 학생들이 전 세계 어느 곳이든 가상 체험학습을 할 수 있는 ‘익스피디션 콘텐츠’ 등이다. 특히 남한산성을 익스피디션에 선보여 교사들이 태블릿으로 남한산성에 대한 익스피디션의 교사 자료를 활용해 실감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카드보드 뷰어를 사용해 실제 남한산성을 거니는 듯한 느낌으로 VR 가상현실 체험학습이 가능하다.
재단은 향후 구글과의 협업 결과물들을 적극 활용해 병원, 교정시설, 군부대, 산업공단, 산간벽지 등 문화소외지역 도민들이 도의 풍부한 문화자산을 자유롭게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전체 콘텐츠는 PC와 모바일을 통해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웹사이트(www.google.com/culturalinstitute)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Arts & Culture 모바일 앱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
/민경화기자 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