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무산으로 내홍에 휩싸여 친박계와 비박계가 갈라설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조기 전당대회론’이 솔솔 나오고 있다.
한 비박계 의원은 18일 “아무리 비박계 임시지도부가 싫었다고 해도 친박계가 이처럼 지도부 공백 상태를 장기화시킨 것은 제 발등을 찍은 격”이라며 “앞으로 친박계와는 함께 가기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혁신위원장에 내정됐다가 물러난 김용태 의원은 친박계를 겨냥 “그들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19일 ‘중대 발표’를 하겠다고 밝히면서도 그 내용은 함구했다.
정두언 의원도 전날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 정체성은 특정인에 대한 충성심이다. 이런 패거리 집단에 있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해야겠다”고 말했다.
이런 기류는 친박계 안에서도 감지된다.
친박 핵심인 김태흠 의원은 “분당 상황이 올 수도 있다”면서 “‘절이 싫으면 스님이 떠난다’는 옛말처럼 정당은 이념과 생각, 목표와 방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분당설은 새누리당 비주류와 국민의당의 연합 가능성, ‘친노당-친박당-중도정당’의 3당 체제 탄생 가능성 등을 거론하는 정계 개편 시나리오와도 맞물려 있다.
하지만 사실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이같은 ‘분당설’이 기우일 뿐이라는 의견이 더 많다.
새누리당의 구성원들은 “나가면 죽는다”라는 공감대가 오래전부터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밖에 나가면 시베리아라는 사실을 다 알고 있는데, 누가 나가겠느냐”면서 “말만 저렇게 할 뿐 얼어죽기 싫어서 아무도 안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조기 전대론’에 불이 지펴지고 있다.
친박계는 특히 비대위 구성을 위해 전날 소집됐던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개최가 정족수 미달로 무산되면서 정진석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상처를 입은 만큼, 조기 전대로 이를 봉합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홍문종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전대를 빨리 치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 전대의 시기는 정기국회 소집 전인 8월 말보다 한 달가량 앞당긴 7월 말이 거론된다.
반면 비박계에선 조기 전대보다는 ‘정진석 비대위’에 힘을 실어 하루빨리 혁신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상임전국위 개최를 실력 저지한 ‘친박 패권주의’를 청산하면서 당의 노선 투쟁에 주력해야 한다는 기류다.
김영우 의원은 “문제의 근원은 혁신을 발목 잡는 친박 패권주의 아닌가”라며 “아직도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는 당이 정말 걱정된다. 힘들더라도 단합해 혁신을 이뤄내려면 정 원내대표에게 힘을 모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