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1시간의 여유… 도내 중·고생 ‘9시 등교’ 이후 행복감 ‘쑥쑥’

12개월 후 中 5.87→6.92점, 高 5.60→6.56점 상승
아침식사 하는 학생 늘어… 집중도 등 학습태도 개선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홍승철 교수팀 추적 관찰

중고등학생들의 아침 등교시간을 1시간 가량 늦추자 삶의 행복감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14년 7월 취임한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9시 등교’를 권장하면서 현재 도내 중학교 99.7%, 고교 92.1%가 관련 등교 정책에 동참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 학생의 심리 변화 양상이 조사된 것이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홍승철 교수팀은 도내 중학교 1곳(조사 대상 263명), 고교 1곳(104명)을 10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중학생 등교 시간을 8시 20분에서 9시로, 고교생 등교 시간을 8시에서 9시로 각각 조정한 다음 2개월, 12개월 이후 학생들의 만족도를 10점 만점으로 조사했다.

먼저 중학생의 전반적인 행복감은 기존 5.87점에서 9시 등교 2개월 후 6.89점, 12개월 후 6.92점으로 각각 개선됐다.

고등학생 역시 기존 5.60점에서 2개월 후 6.64점, 12개월 후 6.56점으로 상승했다.

아침 식사를 하는 학생도 늘었다.

중학생은 기존 5.03회에서 2개월 후 5.53회, 12개월 후 5.65회로 늘었고, 고교생은 기존 4.53회에서 2개월 후 5.15회, 12개월 후 5.56회로 상승한 아침 식사 횟수를 유지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는 등교 시간을 늦추면 지각, 수업 중 졸린 정도, 수업시간 집중도 등 학습 태도가 개선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중학생의 지각 횟수는 기존 1.38회에서 2개월 후 1.12회, 12개월 후 1.04회로 줄었고, 고교생의 지각 횟수는 기존 1.19회에서 2개월 후 0.90회, 12개월 후 0.94회로 8시 등교 당시보다 우수했다.

수업 중 졸린 정도는 중학생의 경우 기존 4.87점에서 2개월 후 4.07점, 12개월 후 4.30점인 것으로 조사됐고, 고교생은 기존 5.55점에서 2개월 후 4.60점, 12개월 후 4.74점으로 개선됐다.

홍승철 교수는 “중고생 모두 9시 등교를 시행하고 12개월이 지나도 총 수면시간은 증가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등교 시간 연장은 청소년의 생리적인 일주기 리듬에 좀 더 맞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의 질 향상을 비롯해 감정, 학교생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3월 대만에서 개최된 제4회 국제 소아과수면학술대회(The 4th International Pediatric Sleep Association Congress)에서 발표됐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