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최근 중금속 유해성 논란이 불거진 경기지역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을 흙 운동장으로 교체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한국산업표준(KS) 납 기준 90㎎/㎏을 초과한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을 걷어내고 흙(마사토) 또는 천연잔디로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지침을 마련했다.
학교 운동장을 어떻게 조성할지는 학교장 권한이지만 아직 우레탄 트랙의 안전성이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KS 인증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우레탄 트랙을 재설치하는 것은 지양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KS의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 유해성 검사 대상 물질은 납, 수은, 카드뮴, 육가(六價) 크롬 등 중금속 4종뿐이다. 하지만 국가기술표준원이 환경호르몬으로 지정된 프탈레이트를 우레탄 유해성 검사 대상에 추가해 KS 기준을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현재의 KS 기준으로 우레탄 트랙을 설치했다가는 추후 유해성 논란이 또 다시 불거질 우려가 있다.
도교육청은 이와 함께 지난 6월 납 초과검출 학교를 대상으로 교체 희망 물품을 조사한 결과 80%에 달하는 학교가 ‘KS 인증을 받은 우레탄 트랙을 설치하겠다’고 답하는 등 우레탄 트랙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만큼 설명회를 열어 학교 교직원과 학부모의 이해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예비비 약 20억원을 투입해 납 함유량이 높은 학교부터 순차적으로 트랙 및 체육시설을 교체해 갈 계획이다.
교체에 드는 나머지 예산은 교육청 하반기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우레탄 트랙의 선호도가 높은데 이는 우레탄 트랙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조사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학교는 교직원과 학부모, 학생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뒤 마사토를 깔지, 우레탄을 다시 설치할지 결정하면 된다”고 밝혔다.
한편 도교육청이 도내 우레탄 트랙 보유 학교 397교를 대상으로 중금속 유해성 전수조사를 한 결과 245(61.7%)교에서 KS 기준을 초과하는 납이 검출됐고, 농구장 등 체육시설 66%에서도 납이 초과 검출됐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