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AI 연례행사에도 철새탓만 근본대책 손놓고 방역 급급

 

백신접종 등 원천차단책 알면서도
정부, 1천억대 예산 소요 이유 방관
AI 발생하면 확산방지에만 주력

올해도 벌써 도내 63만마리 살처분
양계농가 “전형적 탁상행정” 비난

매년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을 강타, 경기도 내 농가에서도 마치 연례행사처럼 발생하고 있지만 정부가 근본대책은 커녕 철새 탓만 하고 있어 농가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특히 당국은 이 같은 문제점을 이미 인지하고 있음에도, 1천억 원대의 예산 소요 등을 이유로 ‘확산 방지만이 최선의 방법’이란 태도를 고수하고 있어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란 비난마저 일고 있다.

30일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이날까지 도내에서 고병원성 AI로 확진 판정을 받은 곳은 양주·포천·안성·이천 등 4개 시 6개 농가로 63만여 마리의 닭이 살처분됐다.

또 지난 27일 이후 의심 신고가 접수된 곳도 양주 백석읍 산란계 농가 2곳, 화성 양감면 종계 농가 1곳, 평택시 고덕면 오리 농가 1곳 등 4곳으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도는 현재 비상대책상황실을 가동, 거점 소독시설 30개소를 설치하는 한편 방역 차량 122대를 동원해 철새도래지와 가금류 밀집 사육 지역 등을 대상으로 한 방역활동과 함께 내달 9일까지 도내 닭과 오리 사육농가 1천700여 곳의 분뇨 및 알의 반출을 원천차단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이처럼 고병원성 AI가 수년 전부터 겨울철이면 어김없이 도내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이를 사전에 막기 위한 대책은 커녕 여전히 철새가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놓는 상태인가 하면 발생 후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행태가 반복되면서 농가들의 불만과 함께 근본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정부와 경기도 등 관련 당국은 “지속적인 백신 접종과 인력을 투입하면 AI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면서도 “적게는 500~600억 원, 많게는 1천억 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될 것”이라며 사실상 방역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입장이어서 AI의 원천적인 차단은 전무한 실정이다.

실제 지난 2003년~2004년 이천, 양주지역에서 최초로 발생한 AI는 2007년 안성, 2008년 평택·안성, 2011년 안성·이천·평택 등 10개 시군, 2014년 안성·평택·화성·이천, 2015년 안성·여주·이천 등 7개 시군에서 지속해서 발생하며 매년 100만 마리 이상의 닭과 오리가 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닭과 오리를 사육 중인 한 농장주는 “매년 AI가 발생해 닭과 오리가 폐사하거나 살처분해야 하는데 당국에서 미리 대처한다면 이런 문제가 반복되지 않을 것 아니냐”며 “매번 철새 탓이나 하면서 책상에 앉아 지시나 하고 있으니 실질적으로 피해를 보는 농가들의 입장을 알기나 하겠냐. 이제라도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사람도 감기에 걸리는 것처럼 AI도 마찬가지다. 주기적으로 인력을 동원해 백신을 투입한다면 원천 차단할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소요됨에 따라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AI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는 것만이 현재로써는 최선”이라고 밝혔다./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