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수렴이 마무리됨에 따라 교육부는 다음 주 초 국정 역사교과서의 학교 현장 적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국정교과서에 대해 강하게 반대해 온 야당과 시도 교육감들이 1년 시행 연기 방안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주목된다.
25일 교육부에 따르면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총리는 이르면 27일 또는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교과서의 현장 적용 방안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국정교과서의 현장검토본을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이달 23일까지 교사와 일반 국민의 여론을 수렴해왔다.
지난 22일 기준, 현장검토본에 대해 모두 2천741건의 의견이 제출됐으며 내용에 관한 것이 1천519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탈자 53건, 비문 10건, 이미지 관련 의견이 28건 등이었다. 나머지 1천131건은 국정교과서 자체에 대한 찬반의견 등으로 기타의견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지난 23일 밤 12시까지 접수한 내용을 반영해 내년 1월 중 최종본을 완성해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국정 역사교과서의 경우 애초부터 반대 여론이 높았던데다 ‘최순실 게이트’까지 겹쳐 교과서 폐기 압력까지 커져 교육부는 의견수렴시 통상적인 오류 수정·보완 외에 교과서의 현장적용 여부까지 재검토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과 시도 교육감들도 교과서 1년 유예 방안은 수용 의사를 밝히고 있다.
민주당 역사교과서국정화저지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유은혜 의원 측은 “다음주 이준식 부총리의 발표 내용을 봐야 알겠지만 시행 연기는 사실상 국정화 철회로 받아들여진다”며 “이는 수용 가능한 안”이라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기를 역사 과목도 다른 과목들과 마찬가지로 2018년 3월로 1년 미룬다면 그 사이 검정교과서도 새 교육과정에 맞춰 수정 개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교과서를 당장 내년부터 적용할지에 대해 부총리가 다음주 발표할 것인데, 이것은 금방 이뤄질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언급해 시행 연기를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