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비수기라고는 하지만 작년에 비해 중국인 관광객이 눈에 띄게 줄어 타격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수원 인계동에 위치한 A호텔은 지난해까지 외국인 고객 중 대부분이 중국인 관광객이었지만 올해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라는 사드 보복성 규제에 직격탄을 맞은 것.
A호텔 관계자는 “작년까지만 해도 중국인 관광객의 의존도가 매출의 50%를 차지할 만큼 높아지만 비수기가 겹쳐서 그런지는 몰라도 정말 발길이 뚝 끊긴 상태”라며 “주변에 중국인 관광객을 주로 받는 모텔이나 호텔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요우커’로 인한 숙박업계 호황은 옛말이 됐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인근 B모텔 업주는 “그나마 중국인 관광객 때문에 입에 풀칠이라도 할 수 있었는데 중국에서 사드 보복성 규제로 ‘한국 관광 전면 금지’를 시킨다면 타격을 넘어 폐업까지 생각해야할 상황”이라며 “결국 힘 없는 영세업주들만 피해를 보게 생겼다”고 토로했다.
실제 지난 주말 평소 중국인 관광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던 인계동 먹자골목의 한 음식점에는 중국인 관광객 6명만 식사를 하고 있을 뿐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고, 중국인 관광객을 실어 나르는 전세 관광버스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처럼 최근 롯데가 성주골프장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부지로 정부에 제공한 이후 중국의 한국 관광금지 조치 등 사드보복이 노골화하면서 면세, 관광업계뿐 아니라 지역 숙박업계들 또한 위기를 맞고 있다.
용인 신갈동의 한 호텔 대표는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할 것이라는 생각에 몇 억을 빌려 얼마전 리모델링 공사까지 마쳤는데 갑자기 ‘중국인 한국 관광 금지’라니 잠이 안온다”며 “설마했는데 도대체 정부는 뭘하고 있는 건지 결국 힘 없는 사람들만 또 피해를 보게 생겼다”고 말했다.
한편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6일 도정점검현안회의에서 중국의 사드 보복 규제와 관련한 내용을 논의하고, 7일에는 경기관광공사와 도내 관광업계 관계자 10여 명이 긴급 대책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