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 수색이 지난 27~28일 이틀 간 작업자들의 피로도 누적으로 중단된 후 29일 오전 재개됐다.
세월호현장수습본부는 현재 선체 3, 4, 5층 총 44개 수색구역 중 26개 구역에 대한 1차 수색을 마치고 정리 작업중이다.
로비와 편의시설이 있었던 3층 로비(3-5) 구역에 대한 수색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 이는 카페와 편의점 등이 인접해 사고 당시 객실 외 승객들이 머물던 공간으로 지목되고 있어서다.
다만 3-5구역은 옆으로 누워있는 세월호 선체 객실수색 공간 중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데다 길이 25.2m, 높이 2.5m 규모로 지장물과 진흙이 쌓여 있어 42% 공정률을 기록하는 데 그치고 있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3층 중앙로비의 수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지난 16일 4층 중앙 공간에 머문 것으로 추정된 단원고 학생 허다윤 양의 유해 일부가 3층에서 발견돼 다른 미수습자도 3층 중앙로비에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습본부는 다음달 말까지 객실수색을 완료한다는 목표로, 수색작업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까지 단원고 조은화·허다윤 양의 유해가 수습됐으며, 고창석 교사의 유해 일부가 사고해역 수중수색 과정에서 발견됐다. 3층에서 발견된 일반인 이영숙씨로 추정되는 유골은 신원확인 절차를 밟고 있다.
/신병근기자 sb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