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국종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장(교수) 등이 소속된 권역외상센터에 대한 어려움이 알려지면서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청와대 청원이 잇따르자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모색하기로 했다.
26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현재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및 제안’에는 ‘권역외상센터(이국종 교수님) 추가적·제도적·환경적·인력 지원’ 청원에 참여한 인원이 22만9천64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한 청원 제안자는 “소말리아 피랍 사건, 북한군 판문점 귀순사건, 경주·포항 지진 등 여러가지 일들을 언론을 통해 접했다. 이러한 일들을 예방하는 것은 국민안전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적으로도 당연하게 중요한 일이지만, 이런 일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청원 취지를 설명했다.
앞서 이국종 교수는 환자 목숨을 살리기 위해 시행한 시술 진료비가 삭감당하는 등 중증외상 외과 분야의 해결되지 않는 의료수가 문제에 대해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고 개선대책을 호소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열악한 환경과 처우로 전문의와 간호사 등 의료진이 기피하는 현실을 고려해 인력 운영비를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는 귀순 병사 치료를 계기로 열악한 권역외상센터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청와대 홈페이지내 권역외상센터 추가 지원 청원에 서명자가 몰리는 등 국민적 관심이 증폭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복지부는 권역외상센터 내 각종 의료시술 과정에서 진료비가 과도하게 삭감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수가체계를 손보기로 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 한 관계자는 “응급시술은 별도 가산 수가를 매겨서 지원해주지만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기에 권역외상센터 내 의료행위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험급여를 해줄 수 있는 시술과 약품은 건강보험에서 보장하는 쪽으로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수도권·강원, 충청권, 전라·제주권, 경북권, 경남권 등에 총 16곳이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돼 있으며, 아주대병원, 전남대병원 등 9곳은 시설·장비 등 기준을 완비하고 권역외상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권역외상센터로 선정되면 시설·장비 구매비로 80억원 을 받고, 연차별 운영비로도 7억∼27억 원을 지원받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