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영종도 주민들이 공항철도의 불합리한 요금 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공익감사를 감사원에 청구했다.
영종·용유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영종하늘도시주민연합회는 26일 주민 2천400여 명의 서명이 담긴 국토교통부 감사 청원서를 감사원에 제출했다.
이날 연합회는 “영종도 주민들은 공항철도가 완전히 개통한 지난 2010년 말부터 불평등한 철도 요금 체계로 차별받고 있다”며 “국토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개선하려는 의지가 없어 감사원 감사를 청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역~인천공항 2터미널역(T2) 구간의 공항철도는 한 노선이지만 운임체계는 이원화돼 있다.
공항철도 운임은 기본요금 구간(서울역~DMC역)은 1천250원이며 이후 김포공항역(1천450원), 계양역(1천650원), 검암역(1천750원), 청라역(1천850원)까지는 구간별로 100~200원씩 점진적으로 증액되며 환승할인도 받는다.
그러나 섬지역인 영종도로 넘어가면 영종역(2천750원), 운서역(3천250원), 화물청사(3천850원), T1(4천150원), T2(4천750원) 등 운임은 훌쩍 뛰고 환승할인도 적용되지 않는다.
영종도가 도심이 아니라는 이유로 독립운임체계를 적용한 결과다.
인천시는 주민 반발에 따라 수도권통합요금제를 운서역까지 확대하기로 국토부와 협의했지만 예산 문제로 논의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수도권통합요금제를 확대하려면 연간 80억 원 가량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기재부는 ‘현재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한 공항철도에는 매년 재정 보조금으로 3천억 원 가량이 투입되고 있어 추가 재정부담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요금체계 개선을 위한 용역을 마친 뒤 계속해서 국토부와 협의를 하고 있지만 예산 문제로 진척되지 않고 있다”며 “최대한 빨리 다음 협상 일정을 잡아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