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1.7℃
  • 맑음강릉 24.8℃
  • 흐림서울 22.0℃
  • 박무대전 21.6℃
  • 구름조금대구 24.6℃
  • 구름조금울산 23.1℃
  • 박무광주 22.4℃
  • 박무부산 22.7℃
  • 구름많음고창 22.5℃
  • 구름많음제주 24.7℃
  • 구름많음강화 20.8℃
  • 맑음보은 20.6℃
  • 구름많음금산 21.9℃
  • 맑음강진군 23.2℃
  • 맑음경주시 23.4℃
  • 구름많음거제 22.7℃
기상청 제공

성남시 소유 석면 건축물 ‘무석면’ 교체 작업 돌입

18억원 투입 7개소 해체 시작
나머지 43개소 연도별 추진
지역주민 불안감 해소 만전

수정·중원·분당구청 등 성남시 소유 석면 건축물이 모두 무석면 건축물로 바뀐다.

성남시는 19일부터 내년 4월 말까지 18억 원을 투입해 7개소 석면 건축물 해체 공사를 한다고 18일 밝혔다.

공사 대상은 수정·중원·분당구청 건물 등이다. 석면 자재 사용을 산업안전보건법으로 금지한 2009년 1월 1일 이전에 지어져 건축물 천정·벽 타일 등에 ‘석면 텍스’ 건축자재가 일부 사용됐다.

시는 건물에 사용된 석면 건축 자재를 무석면 텍스 자재로 교체하는 작업을 벌인다. 7개소의 석면 제거 면적은 1만3천514㎡ 규모다.

이용자들이 공사 현장에 노출되지 않도록 3개 구청 석면 해체 공사는 주말에 이뤄진다. 바닥과 벽을 완전히 막고 작업해 석면 성분이 날리지 않도록 하며, 석면 농도를 계속 측정하면서 공사한다.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발암물질이다. 호흡기를 통해 폐에 들어가면 10~40년의 잠복기를 거쳐 악성 종양을 만든다. 법으로 사용을 금지하기 전에는 절연성과 내연성이 뛰어나 건축자재로 널리 쓰였다.

시는 공공기관부터 석면 건축자재를 없애 지역주민 불안감을 해소하려고 2012~2014년 시 소유 건축물 154개소를 대상으로 석면 조사를 벌여 89개소 건물에 석면 건축 자재가 쓰인 것을 확인했다.

이 중 39개소 석면 건축물(석면 면적 2만5천805㎡)은 2015년~2017년 무석면 건축물로 바꿨다.

이번 공사 대상 7개소 외에 나머지 43개소의 시 소유 석면 건축물은 사업비 확보 후 연도별 계획을 세워 석면 해체 공사를 할 계획이다.

/성남=진정완기자 news88@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