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숨n쉼]기억의 창고, 군산

 

군산 첫 방문은 고군산군도 탐방이었다. 아침에 새만금방조제 근처를 산책하다 보니까 방조제 규모에 놀랐다. 군산시 시내로 들어가는 택시를 타고 가는 도로에서 본 군산산업단지를 보고는 다시 놀랐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택시운전 기사가 가는 길목에 펼쳐지는 군산의 산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들려줄 때, 그리고 과거 일제강점기 때 군산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군산의 근·현대사에 대해 짧게 이해하게 되었다.


군산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생활 터전이 이곳임을 감안하더라도 그의 군산에 대한 자부심이 인상이 깊었다. 그리고 향후 군산이 타 항구도시보다 근대의 모습들이 잘 간직되어 있는 만큼 많은 외지 관광객들이 꾸준히 올 것이고, 최근 들어 더 꾸준히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군산 구도심 재생은 그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군산이 일제 강점기를 겪으면서 남아있던 일본 적산가옥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보존, 유지하고 현존하는 군산시의 근대 건축들을 지역 정체성으로 부여하면서 차별화된 대표성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문화관광 정책을 통해 군산 구도심의 문화자산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군산 월명동을 중심으로 한 구도심에는 지속적으로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금도 이러한 군산시 1930년대 근대화 문화 콘텐츠를 통한 관광 정책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월명동 주민센터 주변으로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 배경인 초원미술관이 있다. 이곳은 많은 외지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는다. 대부분은 여성들이 더 적극적으로 추억에 사진을 찍는 모습이다. 이 부근을 중심으로 인력거도 운영되고 있다. 


과거 일본 적산가옥을 게스트하우스로 만든 ‘고우당’은 그 오랜 명성에 걸맞게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고우당’ 근처에 집중이 되어있는 군산의 여러 관광 명소들을 숙박을 하면서 볼 수 있어 많은 이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군산은 인천, 부산, 여수 등과 마찬가지로 항구도시로서 물류 및 어업 생산기지이자 경제 중심지이기 때문에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이곳을 중심으로 모여살고 상업 활동을 하면서 경제의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개항기를 거쳐 근대문화의 도시인 군산시 여행의 주제는 ‘Hello Modern 군산시간여행 1930 길’이다. 1930년대 일제 강점기 시대의 근대 유적에서 시작된다. 그것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는 곳이 ‘근대역사박물관’으로 일제 강점기 해상물류유통의 중심지였던 옛 군산의 모습과 근대문화의 자원을 전시하고 있다. 


바로 이 군산 근대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옛 군산세관 본점이 있다. 과거 군산세관 본점은 1908년 준공, 서울역사, 한국은행본점건물과 더불어 국내 현존하는 서양 고전주의 3대 건축물 중 하나다. 군산시는 이러한 근대유산을 바탕으로 외지인들의 관광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근대 유산을 지역 문화관광의 정체성을 통해 그 문화자산으로 삼고, 복원 및 원형의 보존을 통해 군산 원도심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채만식의 소설 ‘탁류’(濁流)에서는 고태수가 다니던 은행으로 소개되었던, 옛 조선은행은 1909년 대한제국의 국책은행으로 설립된 한국은행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을사녹약 이후 조선총독부에 의해 조선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광복 이후에는 한일은행 군산지점으로 사용됐다.


동네 앞길로 기차가 지나갔던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은, 총 길이 2.5㎞로 1944년 4월 4일 신문용지의 생산품과 원료를 실어 나르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기차가 지나갈 때에는 역무원 세 명이 기차 앞에 타서 호루라기를 불고 고함을 쳐 사람들의 통행을 막았다고 한다. 2008년 7월 1일 통행을 완전히 멈추었지만 철길은 그대로 남아서 이를 통해 기억의 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구도심의 재생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이렇듯 군산은 문화관광 콘텐츠를 첨단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기억’과 ‘추억’의 창고를 통해 그 지역의 정체성과 대표성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