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22.9℃
  • 흐림강릉 26.2℃
  • 서울 24.3℃
  • 대전 22.8℃
  • 대구 23.2℃
  • 울산 22.8℃
  • 광주 24.2℃
  • 부산 23.5℃
  • 흐림고창 25.4℃
  • 흐림제주 28.2℃
  • 흐림강화 22.8℃
  • 흐림보은 22.6℃
  • 흐림금산 22.3℃
  • 흐림강진군 24.5℃
  • 흐림경주시 23.5℃
  • 흐림거제 24.3℃
기상청 제공

기업.지자체 녹지조성 힘써야

꾸준한 설비시설 개선필요 공동감시단 모니터링 감시

SK 케미칼과 SKC 수원공장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대책은 기업이 설비개선에 더욱 투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근본적인 대책이 공장이전이라는 사실에는 모두 동의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와 수원시도 주민들을 위해 녹지 조성 등에 투자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29일 환경단체와 주민들 및 도, 시 등에 따르면 두 공장의 악취 문제의 완전한 해결은 공장 혹은 주민들을 이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SK 공장들이 단순한 조립 생산 라인을 가동하는 것이 아니라 플랜트가 들어서 있어 이전할 경우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됐다.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이에 따라 다양한 차선책들을 제시했다.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무엇보다 공장이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공장들이 꾸준히 설비개선에 투자를 해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경기도, 수원시, SK, 아파트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 환경감시단’을 구성해 공장 악취 등을 꾸준히 감시하고 토론을 통해 대책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는 것.
수원환경운동연합 장동빈 사무국장은 “공장이나 주민을 이동시킬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SK측에서 설비개선에 계속해서 투자를 하는 방법이 최선”이라며 “민, 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정기적 모임과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하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기업에만 모든 책임을 전가시키지 말고 경기도와 수원시도 투자를 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인근 S아파트 주민 박모(여.37)씨는 “사업 시행사인 한국토지공사의 환경영향평가는 물론 이를 승인한 도와 시 또한 책임을 면할 수는 없다”며 “정부 기관에서 이제라도 주민들을 위해 투자를 해 완충지역(녹지)을 확대하고 정기적 측정 및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주민 이모(45)씨는 “택지개발지구 내에는 1만5천여 명의 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있다”며 “학생들이 깨끗한 환경에서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과 기업에서 더욱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환경영향평가 규정의 경우 악취 측정 횟수, 최소 이격 및 완충지역 공간 확보 등 구체적 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는 월 1회 두 공장을 대상으로 정기 점검을 실시하고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며 “주민들의 민원에 대해서도 더욱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점검은 분기별 1회, 측정은 반기에 1회씩 실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점검을 실시함과 동시에 단속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SKC 수원공장 관계자는 “앞으로도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설비개선에는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SK케미칼측에서는 이와 관련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규정 개정에 대해 “현재 내부적으로는 공단과 인근 주택과의 이격 거리를 50m로 적용하고 있다”며 “그러나 악취 측정 횟수나 이격거리를 규정할 경우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개정 계획은 없다”고 해명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