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기업과 소상공인의 2분기 체감 경기가 긴급재난지원금 수요 등에 힘입어 ‘반짝’ 반등했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는 10일 2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GBSI) 조사 결과 업황 BSI는 47.4로 전 분기보다 30.7p 급등했다고 밝혔다.
GBSI는 100을 넘으면 보증 이용업체가 경기 호전을 예상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오히려 악화할 것으로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의미다.
해당 조사 결과는 지역신용보증재단에서 신용보증을 이용하는 소기업과 소상공인 2천183곳을 대상으로 지난 6월 15~22일 실시됐다.
업황 BSI는 지난해 4분기 57.7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1분기 16.7로 급락했다가 2분기 반등했다.
업종별로 올해 2분기 BSI를 보면 도소매업이 55.8로 전 분기보다 40.2p 급등했고 서비스업 34.9p, 음식·숙박업 32.2p, 제조업 20.0p 각각 올랐다.
호전 이유로는 기타가 4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긴급재난지원금 수요와 코로나19 안정화 등이 여기 속한다. ‘자금 사정 안정’ 30.3%, ‘내수 및 수출 수요 증가’ 14.1%, ‘판매 조건 호전’ 10.3%이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19로 겪는 애로 사항은 고객 감소에 따른 매출 감소라는 응답이 69.0%에 달했고 영업 또는 생산 중단(16.9), 자금 조달 및 상환(7.9%)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금융지원이 48.1%, 재난기본소득 등 정부 지원금이 22.8%에 달했다. 세제지원 14.0%, 소비 활성화 캠페인 11.7% 등이었다.
이렇듯 정부의 각 지자체의 재난지원금으로 소비 진작이 이뤄지면서 잠시 체감경기가 상승했지만, 최근 다시 ‘약발’이 다하면서 다시 하락하고 있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이 밝힌 소상공인 BSI는 5월을 88.3으로 반짝 상승했다가, 6월과 7월 각각 82.6과 68.1로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전북 완주군, 대구광역시, 제주도 등 일부 지자체는 2차 재난지원금 10만원씩 지급하기도 했다. 경기도 역시 정부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소상공인들은 재난지원금으로 인한 소비 진작은 인정하면서도, 2차 재난지원금 논의나 지속 효과에 대해서는 “일시적 효과일 뿐”이라며 시들한 반응을 보였다.
수원시 장안구에서 음식점을 운영 중인 A(60)씨는 “상반기에 재난지원금이 들어왔을 때 잠깐 괜찮았지만 지금은 정말 상황이 안 좋다”면서도 “또 재난지원금을 지급해봐야 잠깐이고 나중에 세금 부담도 커지지 않겠나”고 말했다.
식품점 주인 B씨는 “재난지원금 이후로 손님이 늘어 한 달 잠시 살만하긴 했지만 이제는 효과가 없다”면서도 “2차 재난지원금이 들어오면 당장은 좋겠지만 결국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난지원금은 소비의 최종 단계로 일시적 효과는 있지만, 시설투자 등 부가 가치를 연쇄적으로 창출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어 “상반기보다는 상황이 나아질 수 있어도 마이너스 성장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면서 “소비 역시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덧붙였다. .
[ 경기신문 = 편지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