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27.7℃
  • 맑음강릉 25.9℃
  • 맑음서울 28.1℃
  • 구름조금대전 28.8℃
  • 구름조금대구 29.7℃
  • 구름조금울산 29.3℃
  • 구름많음광주 29.0℃
  • 구름조금부산 29.5℃
  • 구름많음고창 27.6℃
  • 구름많음제주 27.4℃
  • 맑음강화 25.2℃
  • 맑음보은 ℃
  • 맑음금산 ℃
  • 구름많음강진군 29.6℃
  • 맑음경주시 ℃
  • 구름많음거제 ℃
기상청 제공

간단한 혈액검사로 ‘노인 우울증’ 예측 가능해졌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연구팀 논문 세계적 학술지 최근호에 게재
적혈구 모양·농도 등 나타내는 적혈구 지표로 뇌기능 저하 및 우울증 예측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사진) 교수, 초고령사회의료연구소 오대종 교수 연구팀이 간편한 혈액 검사만으로 노인 우울증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18일 연구팀에 따르면 혈액 속 적혈구는 뇌를 비롯한 각종 장기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세포로, 적혈구 지표가 증가하면 적혈구가 특유의 모양을 잃고 크기도 커지며, 탄력성이 떨어져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을 방해해 뇌 기능 저하 및 우울증 발병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

 

이에 김기웅 교수 연구팀은 노인의 혈액 속 적혈구의 변화를 통해 우울증을 예측하고자 60세 이상 한국인 4451명을 대상으로 일반혈액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를 실시해 적혈구 지표를 측정하고, 노인 우울증의 발병 위험과 연관성이 있는지 약 4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분석 결과, 평균 혈구혈색소량이 상위 그룹 수준까지 증가하거나 유지되는 경우 남성은 우울증 발병 위험이 2.3배, 여성은 3배까지 높아졌다.

 

또 평균 적혈구 용적이 상위 그룹 수준까지 증가하거나 유지됐을 때에는 남성은 우울증 발병 위험이 4.5배, 여성은 무려 6.3배까지 뛰는 것으로 드러났다.

 

오대종 교수는 “적혈구처럼 피를 구성하는 세포의 변화가 어떤 기전을 통해 우울증을 유발하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하며, 일반혈액검사를 실제 의료 현장에서 우울증 진단 및 예측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교신저자 김기웅 교수는 “노년기 여러 만성 질환이 혈액의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여성은 이러한 혈액 이상이 수년간 축적되면서 뇌기능 저하로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았다”며, “노인들은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균형 잡힌 영양 섭취, 운동 등으로 만성 질환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AMDA(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최근호에 게재됐으며, 보건산업진흥원과 질병관리본부의 지원으로 2009년부터 진행 중인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 경기신문/성남 = 진정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