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양주시는 지난 20일 시청 다산홀에서 수도권매립지 반입 총량제에 따른 생활쓰레기 감축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쓰레기 제로 시범사업(안)’을 주제로 제43차 강한 남양주 만들기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먼저 엄우원 전략기획관 전략1팀장이 남양주시 생활쓰레기 혼합배출 현황, 쓰레기 절감사업 기대효과와 향후 실행계획, 타 지역 혁신사례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김재춘 자원순환과장이 시민 환경의식 개선과 생활쓰레기 관리의 새로운 표준 제시의 의지를 담은 ‘다가치(多價値) 다함께’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소개하고 구체적인 사업 추진방향을 발표했으며, 생활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참석자들의 질의응답과 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논의된 ‘쓰레기 제로 시범사업(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현행 주2~3회 수거에서 1일 10회 이상 수거를 통해 최대 1시간 내에 배출 쓰레기 수거 ▲집 앞 2분 거리(50m 범위 내)에 종량제 및 음식물쓰레기 지정 배출장소인 그린존 운영 ▲집 앞 5분 거리(500m 범위 내)에 재활용품을 지역화폐로 교환해주는 리사이클센터 운영 등으로, 쓰레기 배출·수거방식의 혁신적인 변화를 만들자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조 시장은 “쓰레기와 관련된 정책들은 지속성이 결여된 채 실패한 사례가 대부분이다. 그간 실패를 바탕으로 더 많은 고민과 노력을 통해 빈틈을 찾아야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시는 각 가정 등에서 배출하는 쓰레기봉투(20L) 1개만 줄여도 연간 5600t의 생활쓰레기를 줄일 수 있으며, 우리시 생활쓰레기 배출량의 26% 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히며, 시민 모두가 쓰레기 감량에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 경기신문 /남양주= 이화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