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8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5.6℃
  • 서울 23.9℃
  • 대전 24.2℃
  • 대구 28.5℃
  • 흐림울산 27.8℃
  • 흐림광주 26.3℃
  • 부산 25.6℃
  • 흐림고창 27.8℃
  • 흐림제주 32.5℃
  • 흐림강화 23.1℃
  • 흐림보은 24.5℃
  • 흐림금산 24.6℃
  • 흐림강진군 27.3℃
  • 흐림경주시 29.2℃
  • 흐림거제 26.6℃
기상청 제공

中 해상원전 추진, 해외수출로 원전굴기 이루려하나

2035년 해상원전 건설...산둥 앞바다에 착공
후쿠시마 사고, 원전 지진·쓰나미 안전 대두돼
러시아와 달리 중국 원전, 해안 지방에에 집중
남중국해 무력시위 쓰이나...“원전 수출이 목적”

 

중국이 부유식 해상원자력발전소(이하 해상원전) 건설을 추진해 주변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해양오염 우려부터 군사전략적 목적으로 쓰는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오는 가운데, 해상원전을 타국에 수출하려는 목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정부는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계획을 통해 2035년까지 해상원전 장기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중국핵동력연구설계원(NPI)이 건설하는 첫 해상원전은 올해부터 중국 산둥반도 부근 옌타이 앞바다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해상원전은 발전선에서 비롯됐다. 대용량 전력공급을 위한 발전소 건설은 장시간이 소요되니, 대형선박에 발전기를 설치해 육상에 공급한다는 개념이다. 한국전쟁 당시 ‘자코나호’ 등 발전선 8척이 미국으로부터 건너와 전력을 공급한 바 있다. 이를 원자력으로 향상시킨 것이 해상원전으로, 핵항공모함과 핵잠수함에 쓰인 것이 대표적이다.

 

해상원전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주목받게 됐다. 지진·쓰나미로 지상원전의 피해가 막심해지면서 원전 안전성에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해일을 타넘을 수 있고, 유사시 바닷물로 냉각이 가능하다. 또 부지 확보 부담 및 사고시 토양오염의 가능성도 적다.

 

대표적으로 러시아가 2010년 핵잠수함 원자로를 활용해 진수한 해상원전 ‘아카데믹 로모노소프호’가 있다. 활동 반경은 북해부터 극동 시베리아 추코트카 지역까지 시베리아 일대를 누빈다. 국토가 불모지가 많은 특성상, 이동식 원전을 통해 천연가스·석탄 등 자원 채굴·시추 현장에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반면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는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후쿠시마 사고를 근거로 강하게 반대한다. 핵폐기물 처리 및 사고 발생시 미칠 해양오염 정도가 막심할 것이란 이유다. 러시아가 북해·시베리아 자원개발에 해상원전을 동원하듯, 더 많은 화석연료 생산을 위한 용도로 해상원전을 이용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런데 중국의 해상원전은 이와는 조금 다른 조건으로 보인다. 중국의 불모지는 러시아와 달리 서쪽 내륙에 위치해있다. 반면 중국의 원전은 OPIS(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 집계 결과 랴오닝·산둥·장쑤·저장·푸젠·광둥·하이난 등 중국 대륙의 해안지방에 61기가 몰려있다. 원전사고 발생시 한반도·대만·일본이 피해권역에 들어설 것은 당연한 구조다.

 

그럼에도 중국이 자국 전력 수요와 러시아 벤치마킹을 근거로 해상원전을 추진하는 데는 여러 추측이 나온다. 서방세계가 친환경·차세대·신재생 에너지 개발로 화석연료 대체에 공들이고 있다. 반면 중국은 2030년까지 원전 110기를 운영해 전체 발전량 중 11%를 원자력으로 채우겠다는 목표를 설정하는 등, 미국을 앞지른 ‘원전굴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상원전 또한 이것의 일환이란 분석이다. 군사전략적으로는 천연·해양자원이 많은 남중국해 분쟁 지역에 해상원전을 설치해 이해당사국에 위협을 주는 요소로 활용이 가능하다. 경제적으로는 서방제재를 받는 북한 등 친중 국가나 아프리카 일대일로 국가 등 제3세계에 해상원전을 수출하는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전기공학부 교수는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거쳐 극동 지역에 해상원전을 두려는 것과 달리, 중국은 소형원자로 개발 등 다양하게 원전에 상당한 투자를 한다”며 “해상원전 제작을 성공해 군사 분야 등 원자력의 이용 다양화를 위한 시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국 수요에 기반해 해외진출로 포커스를 두는 경우로 보인다. 원전 개발 입지가 적절하지 않은 타국에 수출의 기회로 만들려는 것일 수도 있다”며 “중국과 러시아는 600메가와트급 고속증식로를 짓는 등 차세대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원전에 있어 굉장히 다양한 활동을 한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