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2℃
  • 구름많음강릉 31.5℃
  • 서울 26.5℃
  • 천둥번개대전 24.0℃
  • 구름조금대구 27.5℃
  • 구름많음울산 29.3℃
  • 광주 23.9℃
  • 구름많음부산 27.4℃
  • 흐림고창 25.2℃
  • 구름많음제주 31.9℃
  • 흐림강화 25.2℃
  • 흐림보은 24.5℃
  • 흐림금산 23.8℃
  • 흐림강진군 26.9℃
  • 구름많음경주시 30.3℃
  • 구름많음거제 26.8℃
기상청 제공

[사설] 변동성 커진 국제 금리·자본 이동 대비해야

신흥국 잇따른 금리인상과 미·중 갈등 심화 주목

  • 등록 2021.03.23 06:00:00
  • 13면

나라 안팎에서 인플레(물가상승) 경보음이 울리고 있다. 지난 1월 통화량(M2·광의통화)이 전월 대비 1.3% 증가한 3233조원으로 사상 최대이고 증가율도 11년만에 가장 높다. 초저금리에다 코로나 지원금 등이 시중에 풀렸기 때문이다. 식탁 물가 등 각종 물가도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회복 낙관론이 대두되면서 원유, 구리 등 원자재 가격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미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2%에서 6.5%로 대폭 상향했다. 이는 1976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의 성장률을 앞서는 고성장을 의미한다. 중국은 성장률을 6% 이상으로 제시했다.

 

이에따라 미국의 인플레 가능성, 금리 인상 압박 요인이 커지면서 주식시장 등 세계 금융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선진국 채권금리가 오르면서 지난달 마지막 주 중국, 러시아, 인도 등 30개 신흥국 주식과 채권에서 하루 평균 약 2억9000만달러 규모의 자본이 빠져나갔다. 주간 기준 신흥국에서 자본이 이탈한 건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이다.

 

각국의 인플레 대응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브라질(2%->2.75%), 터키(17%->19%), 러시아(4.25%->4.5%) 등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밖에도 노르웨이 아르헨티나 인도 태국 등 많은 나라들이 금리 인상과 그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여기에다 미 연준이 지난해 코로나 대유행으로 적용한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 완화 조치를 이달말 종료하기 해 금리 상승 압박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SLR이란 미 대형은행들이 자기자본을 자산의 3% 또는 5% 이상 유지하도록 의무화한 규제로, 은행이 이 비율에 맞추기 위해 국채 등을 대량 매도하면 금리가 치솟는다.

 

우리나라는 코로나 재난지원금 등으로 국가부채가 1000조원에 이르고 40%를 밑돌던 국가채무비율도 올해 50%를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가계대출도 1000조원을 돌파했다. 미국같은 기축통화국은 금리인상에 대응할 선택지가 많다.

 

5월부터는 모든 미국 성인의 코로나백신 접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한다. 미국의 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지면 달러화의 강세, 글로벌자금의 미국 유입이 주목된다. 유럽(EU)도 이런 가능성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미국의 양적완화가 남유럽이나 신흥국의 자본 이탈로 이어졌다. 미국의 금리가 일정수준에서 안정돼도 다른 나라들은 금리를 올려야 하는 정반대의 상황에 몰릴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다 지난주 미·중 회담에서 보듯 세계패권을 둘러싼 국제정세도 예사롭지 않다.

 

현대전은 과거의 물리적 대치보다는 수출입쿼터, 관세 등 경제적 대응으로, 특히 환율, 외환보유고, 국채 매입·매각, 금리, BIS기준(은행 자기자본비율) 등 소리없는 금융 전쟁으로 전개되고 있다.

 

세계는 코로나 회복과 관련한 국가별 양극화, 미중갈등 등을 둘러싸고 새로운 질서를 찾아가는 대전환기다. 우리의 경우 국가·개인 채무 규모, 코로나 경제 회복 등이 무겁게 느껴진다. 정부는 정책적 옵션의 공간을 넓혀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