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모두 1대1 구도가 만들어진 가운데 4·7재보선에 건곤일척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야당 후보들의 부동산 비리 등의 의혹 공세에 집중하며 “이명박(MB) 시절로의 회귀는 안된다”는 논리로 여권 지지층에 결집을 호소하고 있다.
LH사태에 대한 고강도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반전의 흐름을 만들어내고 이른바 ‘샤이 진보’(숨은 진보 지지층)를 투표장으로 불러 오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부동산 정책 실패 등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최대한 부각하고 있다. 이른바 ‘정권심판론’을 고리로 보수층은 물론 중도층으로의 확장을 노리고 있다.
또 “박원순 시즌2가 되면 안된다”며 재보선 원인을 제공한 민주당 전임 시장들의 성추문 사건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은 ’과거와 미래의 대결‘을 내세워 지지층을 총집결하겠다는 생각이고, 국민의힘은 선거 승리를 발판으로 ‘정권교체의 길’을 열겠다는 것이다.
28일 현재까지 초반 여론조사상으로는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가 각각 민주당 박영선, 김영춘 후보보다 우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야권이 우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집값 상승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까지 터지면서 여권 전체 지지율이 하락한데다 야권의 후보 단일화 영향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이 대안세력으로 인정받았다기보다 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선거까지 열흘이 남은 만큼 여야 후보의 TV 토론, 사전투표를 포함한 전체 투표율, 막말 등 돌발 사건의 등장이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번 재보선 결과는 대선은 물론 차기 권력 지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이 승리한다면 정권의 지지율 반등 계기를 만드는 동시에 정권재창출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제3후보들의 활동 공간이 넓어질 수 있다.
반대로 패배한다면 문재인 대통령의 레임덕이 본격화하면서 당내 대권구도도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여권 내 구심점이 사라져 주자 간 갈등상이 본격적으로 표출될 수도 있다.
국민의힘이 승리한다면 향후 야권 재편에서 주도권을 갖고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 제3지대 인사들을 끌어 다니며 세력을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진다면 정계 개편이 기정사실화 되면서 제3지대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