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8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5.6℃
  • 서울 23.9℃
  • 대전 24.2℃
  • 대구 28.5℃
  • 흐림울산 27.8℃
  • 흐림광주 26.3℃
  • 부산 25.6℃
  • 흐림고창 27.8℃
  • 흐림제주 32.5℃
  • 흐림강화 23.1℃
  • 흐림보은 24.5℃
  • 흐림금산 24.6℃
  • 흐림강진군 27.3℃
  • 흐림경주시 29.2℃
  • 흐림거제 26.6℃
기상청 제공

[사설] 국제금리 인상, 안보 관점에서 대비하자

‘포스트코로나’ 변동성 주시해야

  • 등록 2021.04.27 06:00:00
  • 13면

백신 접종과 함께 주요 나라들이 경제 재개를 알리는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이번주부터 G7 국가 가운데 처음으로 양적완화 축소(Tapering:테이퍼링)에 나섰다. 테이퍼링은 인플레이션이 예견될 때 이뤄지는 선제적인 조치로 금리인상의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캐나다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6.5%로 전망되는 등 경기가 예상보다 강하게 반등할 것으로 판단해 이같이 결정했다. 테이퍼링에 이어 금리인상 예상 시기를 2023년에서 내년 하반기로 앞당겼다.

 

이제 금융시장의 눈은 미국 중앙은행(Fed)과 유럽중앙은행(ECB)을 향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 속도는 백신 접종률이나 경제 구조에 따라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 캐나다 같은 경우는 원유 등 자원에 대한 경제 비중이 높은 나라여서 경기회복이 제조업 중심 국가들에 비해 선행할 수 있다. 또 유럽은 국가마다 백신 접종에 편차가 있어 양적완화 축소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미국 Fed도 파월 의장이 현행 제로금리를 2023년까지 지속한다는 계획을 수차례 밝힌 바 있어 있어 당장은 캐나다의 조치가 국제금리의 상승흐름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러나 백신 풍요국인 미국이 계획대로 5월말까지 자국내 모든 성인에 대해 1차 백신 접종이 완료된다면 경제 회복이 급속히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은 올해 GDP 성장률이 6.5% 안팎으로 예상되며 1976년 이후 중국을 처음으로 능가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독일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으며 성장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고개를 들고 있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금리인상을 한다면 우리와 같은 신흥국들에게는 환율 인상과 함께 달러 자산의 이탈을 불러온다. 신흥국들의 증시에도 악재로 작용한다. 올해들어 브라질 터키 러시아 등이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도 이같은 주요국의 금리 상승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 포석의 의미가 크다.

 

대대적인 양적 완화와 최근 금리 변동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금리가 다시 안정적 추이를 보이고 있는데는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미국 국채를 매입하면서 금리 상승 압력을 완충해주고 있는 것도 한몫을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에 이어 유럽까지 코로나 짓눌림에서 탈출하기 시작하면 국제 금리가 일제히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의 부채 비율이 높은 중국의 경우 대출 조절에 들어가는 등 신중한 통화정책을 펴고 있다. 주요 국가들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대비하려는 것이다. 특히 미국과 전방위로 대치하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금융 공세를 경계해야 한다.

 

한국은 1997년 ‘IMF위기’때 기업부채비율, 금리, 환율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배웠다. 미국은 1980년대 급부상하던 제조업의 일본을 금융(환율·파생상품) 때리기로 주저앉혔다. 또 냉전이후 지금까지 러시아(구 소련)를 상대할 때 ‘원유가’ 조정을 통해 압박했다. 지금은 ‘포스트 코로나’ ‘미·중 갈등’의 대전환기다. 우리는 경제 부문에서 중국과 깊이 연동돼 있다. ‘반도체·탄소배출·백신’처럼 금리를 안보 관점에서도 예의 주시해야 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