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0 (토)

  • 흐림동두천 26.5℃
  • 흐림강릉 31.0℃
  • 서울 25.8℃
  • 천둥번개대전 23.3℃
  • 구름많음대구 28.7℃
  • 구름많음울산 30.5℃
  • 천둥번개광주 23.5℃
  • 구름조금부산 28.2℃
  • 흐림고창 25.2℃
  • 구름조금제주 32.7℃
  • 흐림강화 24.2℃
  • 흐림보은 23.7℃
  • 흐림금산 23.3℃
  • 구름많음강진군 28.1℃
  • 구름많음경주시 32.1℃
  • 구름많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 국내외 금리 인상 충격 대비해야

한은 26일 금통위서 금리 인상 주목된다

  • 등록 2021.08.06 05:00:00
  • 13면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누적 감염자 2억 명을 넘어서고, 확산세도 빨라지며 글로벌 경제가 다시 불가측성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핵심 인사가 테이퍼링(유동성 공급 축소)이 10월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최근 "8~9월 일자리 증가분이 80만 명 선에 이른다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것"이라며 “이르면 10월부터 채권 매입을 줄여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당초 연말 또는 내년 초로 예상했던 시장의 전망보다 테이퍼링이 앞당겨질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이어 리처드 클래리다 Fed 부의장도 4일(현지시간) 2023년초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Fed 관계자들이 시장의 유동성을 줄이는 통화정책을 조기에 시행할 수 있음을 알리고 있다.

 

하지만 이날 민간 고용정보업체(ADP)가 발표한 민간 고용은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미국 노동부가 우리 시간으로 주말에 발표하는 고용보고서가 관건이다. Fed는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물가 지표와 관련해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를 선호하는데 이것은 이미 목표치를 넘어섰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제 고용 지표가 남은 변수다. 한국도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초미의 관심사다. 물가 폭등에다 사상 최고치를 계속 갈아치우고 있는 가계부채가 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오는 2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 한은은 지난달 회의에서 이주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중 5명이 가까운 시일안에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런 이유로 코로나의 경제 역풍속에서도 이번 금통위가 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물가가 비상이다. 7월 소비자물가(2.6%)는 9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산물 같은 일시적 요인을 뺀 근원물가도 지난달 1.7% 올라 3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물가 상승 압력도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값은 9.97% 상승하며 지난해 연간 상승률(9.65%)을 넘어섰다.

 

수도권 아파트값 경우는 12.97% 올라 지난해 연간 상승률(12.51%)을 추월했고, 2002년(16.48%) 이후 19년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일반 물가와 부동산 등 주요 부문이 인플레이션 양상을 보이며 금리 인상 요인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특히 1700조원대를 뚫은 가계부채는 뇌관처럼 아슬아슬하다. 이런 시점에 금리 인상이 이뤄진다면 가계부채와 대출로 버텨온 소상공인 등에 직격탄이 될 수 있고 금융권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언제든지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과도한 기업부채와 금융권을 직접 겨냥할 수 있다. 세계 각국도 긴장하고 있다. 가계부채가 높은 한국도 대비해야 한다.

 

최근 ‘코로나 재확산·물가 상승·기후 재난’ 모두 예상을 뛰어넘었다. 확실한 게 없다. 평소보다 더 보수적이고 철저한 대응체제가 필요하다. 경제당국은 물가 억제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선을 앞둔 정치권도 경제정책을 교란하는 선심성 정책이나 발언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