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구름조금동두천 25.7℃
  • 맑음강릉 20.7℃
  • 맑음서울 26.3℃
  • 맑음대전 28.8℃
  • 맑음대구 31.2℃
  • 맑음울산 23.9℃
  • 맑음광주 28.4℃
  • 맑음부산 23.8℃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2.0℃
  • 맑음강화 22.7℃
  • 맑음보은 27.6℃
  • 맑음금산 27.3℃
  • 맑음강진군 28.5℃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6.8℃
기상청 제공

경기도 어촌 ‘소멸’ 아닌 ‘지속가능’ 위한 청년 귀어인 유입 절실

경기도 어가 인구 5년새 29.1% 대폭 감소
어가 인구 고령화도 심각한데…귀어 비율은 낮아
“청년 정주 여건 개선, 생활 인프라 구축으로 진입장벽 없애야”

 

경기도 지역 어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어촌 소멸’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어촌을 만들기 위해서 청년 등 신규 인구 유입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주거 및 소득 안정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올해 발표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어가 인구는 2015년 1843명에서 2020년 1307명으로 줄었다. 5년 새 29.1% 정도 대폭 감소한 것이다.

 

도내 해수면 33개 어촌계와 내수면 9개 어촌계 주민들의 고령화 역시 가속화되고 있다. 2020년만 해도 60세 이상이 어가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

 

어촌지역에 청년 등 신규 인구 유입의 필요성은 날이 갈수록 늘지만, 실제 귀어 인구 비율은 현저히 낮다.

 

올해 발표된 2020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서 경기도의 귀어 인구는 10명에 그쳤다. 이 같은 귀어 인구의 연령대는 주로 50대로 시·도사이 이동이 아닌, 시와 도내에서 이동이 주를 이루는 점도 특징이다.

 

도내 어촌계는 청년 인구의 어촌 정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주거 환경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화성 백미리 김호연 어촌계장은 “백미리의 경우 청년어업인의 정착이 꽤 있는 편이다. 실제 어촌뉴딜 사업을 통해 마을에서 운영 중인 공동 숙박시설에 머물면서 한달살이를 체험하는 이들도 많다”라며 “결국 저리 자금 대출 등 정책보다 마을 내 빈집을 무상으로 5년여간 임대해주는 등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이 더 실효성이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뿐 아니라 의료, 교통, 문화 등 주요 서비스 인프라 확충을 위한 어촌 생활 SOC 사업 역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평택 권관리 박판규 어촌계장은 “외지 청년뿐 아니라 실제 고향에 살다 나간 이들도 다시 되돌아 오게끔 인프라를 마련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어촌 뉴딜 사업 선정 이후 어울림센터를 조성하는 등 편의시설 마련에 힘쓰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역별로 어업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박판규 어촌계장은 “청년들이 어촌에 살려면 안정적인 소득 기반이 있어야 하는 게 맞다”라며 “현재 평택항의 경우 항만구역으로 묶여 실제 어업 종사가 어렵다. 이를 일부분이라도 해지해 어민들에게 어촌을 다시 돌려주고, 소득활동이 가능해져야 외부 인구 유입도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경기도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는 내년 도내 어촌 마을의 빈집을 일괄 조사한 후 귀어 청년에 무상 임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경기도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 관계자는 “실제 센터에서 진행한 어선어업, 맨손어업 교육에 참여하는 청년 비율은 있지만, 실제 귀어로 이어지는 게 드문 상황”이라며 “우선 주거 문제 해결 방안을 찾고 어촌 마을에서 한달살이 프로젝트 등을 통해 정착을 유도할 사업을 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열악한 생활환경으로 인해 어촌지역을 기피하는 일이 없도록 주거, 교통, 교육 등 어촌지역 필수 인프라를 대폭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2022년 업무 계획을 통해 “이주 계획단계에는 임시 주거시설인 귀어인의 집을, 초기 정착단계는 빈집 리모델링을 통한 주거시설을 제공하겠다. 장기 정착단계는 주거플랫폼 사업으로 장기 임대용 공동주택을 공급하겠다”라며 “도서지역 등 어촌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어촌지역 생활서비스 최소기준’을 마련해 주요 서비스 인프라를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박해윤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