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6 (금)

  • 흐림동두천 24.8℃
  • 흐림강릉 21.6℃
  • 서울 23.5℃
  • 흐림대전 27.0℃
  • 흐림대구 27.2℃
  • 흐림울산 28.1℃
  • 소나기광주 27.1℃
  • 구름많음부산 31.7℃
  • 흐림고창 26.3℃
  • 맑음제주 32.3℃
  • 흐림강화 23.8℃
  • 흐림보은 26.7℃
  • 흐림금산 27.4℃
  • 구름많음강진군 30.4℃
  • 흐림경주시 27.4℃
  • 흐림거제 29.4℃
기상청 제공

조상님 모시는 차례상 값비싼 제수보단 '정성'

‘일년 삼백육십오일이 더도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하는 우리의 전통명절 추석이 왔다.
우리의 양대 명절인 설 명절과 달리 추석은 오곡백과 풍성한 풍요로운 계절에다 덥지도 춥지도 않은 절기에 끼어있어 가장 기다려지는 최대 명절이다.
가부장적 전통에 따라 제사를 지내야하는 집안의 며느리들에게는 명절증후군이라 불리는 신드롬도 있지만 가족들이 모처럼 한자리에 모여 조상들의 음덕을 기리고 즐기는 시간을 제공하는 자리이기에 기다려지는 명절이기도 하다.
추석하면 송편으로 대표되는 음식들과 함께 한해 무사히 추수를 마치고 이를 돌봐준 조상들에게 올리는 제의에서 유래된 차례를 빼놓을 수 없다.
최근 제사상을 대행해주는 업체들도 많이 생겼지만 번거롭고 부담스럽지 않은 한도에서 직접 제수 음식을 장만해 차례를 지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제사음식의 종류
중용의 “죽은 이를 섬기기를 산 사람 섬기듯이 하고, 없는 이를 섬기기를 있는 사람 섬기듯이 하라(事死如事生 事亡如事存)"는 교훈을 배경으로 생전에 드리던 음식을 제사에 올리면 된다.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히 담고 뚜껑을 덮으며 추석에는 송편으로 대신하기도 하는 메(밥)와 대접이나 주반에 담으며 쇠고기와 무우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끓인 갱(국)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해 가급적 흰색을 띄는 백편으로 하는 편(떡), 쇠고기, 두부, 생선, 닭고기, 북어 등에 파 마늘 고추를 쓰지않고 1,3,5 홀수로 해서 탕(찌게)을 준비한다.
또 동태나 쇠고기, 배추, 녹두전 등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전(부침)과 힘께 육적, 조기구이, 두부 등 적(구이)을 준비하며 익힌 채소로 한접시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나물 등 삼색 나물을 곁들여 담은 숙채와 고추가루 없이 희게 담은 동치미, 백김치, 나박김치 등 침채 등 채(나물)을 마련한다.
이밖에도 건포인 북어포, 대구포, 문어포, 상어포, 육포 등을 쪄서 익힌 포와 약과 산자 강정 등 유과류, 대추, 밤, 감 (홍시 또는 곶감), 배 등을 준비한다.
하지만 제사음식에서 피하는 몇 가지 음식들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할 듯.
과일로는 복숭아, 생선으로는 치로 끝나는 생선(멸치, 갈치, 삼치 등)은 피하고, 나물에는 마늘, 파, 고춧가루 등의 양념은 하지 않는다.

-진설의 원칙
제사상차림이란 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춰 배열하는 것으로 제수진설법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의 제사상차림은 지방이나 가정마다 각기 다양하지만 각양각색의 진설법이라도 공통으로 혹은 관행적으로 지키는 기본원칙이 있다.
제사를 모시는 분의 배우자가 있을 경우 두 분을 함께 모시는 '고비합설', 탕을 놓고 5열로 차리는 '5열진설법', 밥은 서쪽에 국은 동쪽에 배치하는 '반서갱동', 남자조상의 신위와 밥, 국, 술잔은 서쪽에 놓고 여자 조상의 것은 동쪽에 놓는 '고서비동'의 원칙이 있다.
또한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 '어동육서',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동쪽 머리가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하여 놓는 '두동미서', 적을 중앙인 3열에 배치하는 '적전중앙',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홍동백서' 등의 진설 원칙이 있다.
기타 진설 원칙으로는 '좌포우혜'라 하여 4열 좌측 끝에 포(북어, 문어, 전복)를 놓고 우측 끝에는 젓갈을 놓으며 '조율시이'라 해서 좌측부터 대추, 밤, 감(곶감), 배(사과)의 순서로 놓으며 '건좌습우'라 해서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 식이다
한편 제사상 진설은 '5열 진설법'을 기본으로 하는데, 제 1열에는 술잔과 메(밥), 떡국(설), 송편을 놓는 줄로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리며 제 2열은 적과 전을 놓는 줄로 3적으로 육류 적, 어패류 적, 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탕을 놓는 줄인 제 3열에는 육탕, 소탕, 어탕의 순으로 올리며 포와 나물을 놓는 제 4열에는 왼쪽 끝에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오른쪽 끝에 식혜나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인 콩나물, 숙주나물, 무우나물 순으로 올리는데 삼색나물이라 해서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김치와 청장(간장), 침채(동치미)는 그 다음에 올린다.
또한 과실을 놓는 줄인 제 5열에는 왼쪽부터 대추, 밤, 감(곶감), 배(사과)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고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를 놓는다.

-차례 진행순서
1. 재계(齋戒)
하루 전부터 집안밖을 청소하고 목욕재계하여 차례를 위한 마음의 준비를 한다.
2. 제상과 제구 준비
차례를 드릴 장소를 정하고, 미리 여러 제구를 깨끗이 닦아 준비한다.
3. 제수(祭需) 준비
주부 이하 모든 가족 구성원이 제수를 준비한다.
4. 제복입고 정렬하기
명절날 아침 일찍 일어나 제복을 입고, 제상 앞에 남자들은 오른편에 여자들은 왼편에, 제주와 주부는 앞에 대체로 연장자 순서대로 선다
5. 제상 차리기
먼저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차린다.
6. 신위봉안
고조부모 이하 부모까지 순서대로 신주나 지방을 모신다. 산소에서는 이 절차가 없다.
7. 강신(降神 : 신내리기)
주인이 읍하고 꿇어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강신의 예를 행한다. 그리고 집사가 잔반에 따라 주는 술을 모삿그릇에 세 번 나눠 붓고 재배한다.   
8. 참신(參神:합동참배)
주인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일제히 강림한 신에 대해 두 번 절하며 인사드린다.
9. 진찬(進饌 : 메, 국 올리기)
윗대 조상의 신위부터 차례로 올린다.
10. 헌작(獻酌:잔올리기)
제주가 고조부 이하 차례로 술을 가득 올린다. 주부는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걸치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에 걸쳐 놓는다.
11. 유식(侑食:식사 권유)
주인이 주전자를 들어 각 신위의 잔에 첨작을 한 후 참례자 일동이 7~8분간 조용히 부복하거나 양편으로 비껴 시립해 있는다.
12,철시복반(撤匙覆飯:수저 걷기)
숭늉 그릇의 숟가락을 거두어 세 번 고른 다음 제자리에 놓는다.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3. 사신(辭神:합동 배례)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이다. 참사자 전원은 재배한다. 
14. 신주 들여 모시기
신위를 사당으로 모시는 절차로 지방을 사용한 경우에는 태워서 재를 향로에 담는다. 15. 철상(撤床:제상 정리) 
제사 음식을 제상에서 내려 정리하고 제구와 제기를 잘 정비해 보관한다.
16. 음복(飮福:음식나누기)
참사자 전원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것으로 음복을 하면 조상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이 있다.

좋은 제수용품 고르는 요령
설 차례상에 올릴 제수용품은 어떤 것을 골라야 좋은지 알아보자.
1.수산물
차례상에 올릴 생선은 살이 붉거나 이름 끝에 `치'자가 들어가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생선은 눈과 배의 상태를 보고 선도를 가늠할 수 있는데 눈알이 맑고 선명하며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것이 좋고 배를 눌렀을 때 탄력이 있어야 한다.
아가미는 선명한 선홍색을 띠어야 신선한 것이며 물이 나오면 냉동한 생선을 해동해서 내놓은 것일 가능성이 크다.
2.나물류
최근 국내산보다 값싼 중국산이 많기 때문에 구입할 때 잘 살펴야 한다.
국내산 도라지는 중국산보다 가늘고 짧은 반면 잔뿌리가 많이 붙어 있고 수확한지 얼마 안돼 겉에 흙이 많이 묻어 있지만 중국산은 깨끗이 손질돼 있다.
고사리는 줄기가 짧고 가늘며 줄기 윗부분에 잎이 많이 붙어있는 것이 좋고, 시금치는 뿌리 색깔이 짙은 빨간색을 띠는 것이 좋다.
3.과일류
배는 선명한 황갈색이 나고 윤기나는 것이 좋으며, 대추는 알이 굵고 적갈색을 골고루 띤 것이 좋다.
밤은 국내산의 경우 알이 굵고 광택이 나는 반면 중국산은 알이 적다.
4.육류소고기는 살코기의 경우 적색이나 선홍색을 내는 것이 좋으며, 살 속에 좁쌀 모양의 기름이 박힌 것이 맛이 좋다.
등심 중 국내산은 겉에 칼자국이 많이 남아 있으나 수입산은 냉동상태에서 뼈를 발라 냈기 때문에 겉에 뼈를 발라낸 흔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닭고기는 국내산이 냉장상태로 유통돼 윤기와 탄력이 있는 반면, 수입산은 냉동상태로 유통돼 윤기와 탄력이 떨어진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