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김동민의 아르케] 후생가외(後生可畏)

 

후생가외.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으로 뒤에 태어난 생명들은 미래세대로서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이다. 이번 선거에서 2030 청년들의 위세는 두려워할 만했다.

 

공자가 후생가외를 말한 의도는 청소년 나이에 해당하는 젊은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 기성세대보다 나을 수 있다는 기대를 말한 것이다. 반면에 나이 사십 오십이 되어서도 이룬 것이 없다면 그런 사람들은 두려워할 것이 없다고도 했다. 단순히 후생을 추켜세우는 것이 아니라 학습하고 수련해야 한다는 충고였다.

 

인간의 본성은 유전자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타고난 유전자는 바꿀 수 없지만, 부모의 보살핌과 학습에 의해 훌륭한 품성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갈 수 있고, 고등학생 나이에 이르면 사회성이 형성된다. 그리고 20대 나이에서는 다양한 지식에 깊이를 더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30이 되면 독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교육이 중요하다. 전도 창창한 후생이라도 사십 오십이 되도록 공부를 게을리 해 좋은 평가를 듣지 못한다면 아무도 두려워하지 않는 꼰대가 될 것이다. 후생들이 나이 들어서 어떤 평가를 듣는지는 본인의 노력도 중요하고 국가와 사회의 배려도 필수적이다. 지금 우리 교육은 후생들이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가? 그런 것 같지 않다.

 

중고등학교 교육은 입시학원의 보조역할에 머물고 있으며, 대학은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과는 거리가 멀다. 대학인들은 위기의 대학을 살려야 한다면서 서울대 학부 폐지, 지방 국립대의 서울대 전환, 대학의 공영화 등 갖은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지방대학은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하게 생겼다면서 정부의 지원을 요구한다. 이들이 살리자는 건 대학(교육)이 아니라 대학교다. 대학교를 살려놓으면 대인지학이 저절로 될까? 국가는 대학교육의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대학의 교육 시스템은 19세기 산업사회의 산물로서 전문가(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하는 데 맞춰져 있다. 반면에 21세기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는 창의적인 융합형 지식인(제너럴리스트)이다. 김대중 정부에서부터 학부제 전환을 유도하는 등 방향 전환을 시도했고, 교육부에서는 융합 교육을 강조했지만 수박 겉핥기에 그쳤다. 가르치는 사람들이 스페셜리스트로서 융합 교육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제너럴리스트를 위한 노력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6월에는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할 예정이다. 그 산파 역할을 한 국가교육회의가 융합 교육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기 때문에 걱정이 앞선다. 사십 오십이 되어서 다양하고 깊은 지식으로 무장함으로써 두려움의 대상이 되고, 육십 칠십이 되어서도 새로운 지식의 습득에 게으르지 않은 가운데 존경의 대상이 되는 교육을 창출해내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