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강릉 6.5℃
기상청 제공

[최인숙의 프랑스 예술기행] 르누아르와 에소이

최인숙 경기대 한반도전략문제연구소 부소장·파리정치대학 정치학박사
▲ 최인숙 경기대 한반도전략문제연구소 부소장·파리정치대학 정치학박사

 

금발의 어여쁜 두 소녀가 피아노 앞에 있다. 한 소녀는 악보를 응시하고 다른 소녀는 건반을 두드리고 있다. '피아노 치는 소녀들(Jeune filles au piano)'. 화가 오귀스트 르누아르(Auguste Renoir)의 대표작이다.

 

파리에서 모델 살 돈이 없어 시골로 거처를 옮겨야 했던 르누아르. 마흔아홉에 행운을 잡았다. 프랑스정부가 룩셈부르크 뮤지엄에 전시하기 위해 '피아노 치는 소녀들'을 산 것이다. 큰돈을 번 르누아르. 난생처음 파리에 집을 사고 에소이(Essoyes)에 아틀리에도 열었다.

 

에소이 풍경
▲ 에소이 풍경

 

늦게 인생이 활짝 피었다. 하지만 젊었을 때는 무지하게 고생한 흙수저였다. 재봉사인 아버지와 삯바느질을 하는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난 그. 부모님은 가난을 탈출하고자 세 살배기 르누아르를 업고 파리로 이사했다. 하지만 도회지의 삶은 만만치 않았다. 열세 살의 어린 르누아르는 결국 생활전선에 뛰어들어야 했다. 도자기공장에 취직해 문양을 넣고 부채를 그리고 장롱에 문장을 넣었다. 이때 8년간 야간학교에 다니며 장식예술과 데생을 공부했다.

 

그 덕일까. 르누아르는 스물한 살 때 프랑스 최고의 미술학교, 파리 에꼴 데 보자르에 합격했다. 여기서 모네를 만나 친구가 됐다. 그러나 모네는 풍경을, 르누아르는 인물을 선택했다. 사실 르누아르는 1877년 그의 나이 서른여섯에 이미 몽마르트르의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Bal du Moulin de la Galette)'라는 걸작을 내 놓았다. 하지만 여전히 생활고에 시달렸고 끝없는 악평에 시달렸다.

 

출구가 필요했던 르누아르. 연인 알린 샤리고의 설득으로 에소이로 갔다. 샤리고의 고향인 이곳은 남 샹파뉴와 부르고뉴의 경계에 있다. 포도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매혹적이고 숨겨진 보물들이 많다. 그림 같은 정취의 거리들, 그 위를 덮고 있는 아름다운 돌들, 빨래하는 여인들, 우르스 강가의 아름다운 나무집들, 은빛으로 투영된 센 강의 물살과 그 속을 누비는 물고기들.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모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곳이었다. 르누아르는 여기에 둥지를 틀고 한 친구에게 편지를 썼다. “나는 샹파뉴에서 농부처럼 살겠네. 내가 보기에 여기와 같은 곳은 이 세상 그 어디에도 없다네.”

 

에소이의 르누아르의집
▲ 에소이의 르누아르의집

 

르누아르는 전원생활을 하며 다시 태어났고 그의 그림은 더욱 유연해졌다. '피아노 치는 소녀들'도 여기서 탄생했다. 그림이 팔리고 비평가들의 칭찬이 시작됐다. 프랑스정부는 레지옹도뇌르 기사작위를 환갑인 그에게 수여했다. 에소이는 르누아르와 뗄 수 없는 곳이 됐다.

 

이 밖에도 에소이에는 191킬로미터의 둘레길이 장관이다. 독특한 풍경들로 둘러싸인 이 길을 거닐다 보면 특유의 건축물들을 만날 수 있다. 거기에 샹파뉴지방의 가스트로노미와 샴페인까지. 어느 것 하나 모자란 게 없다. 에소이로 떠나 자연과 문화와 예술을 즐기며 인생의 제2막을 구상할 수 있다면 이 보다 더 좋은 여행이 그 어디 있겠는가.

 

 


네티즌 의견 5

스팸방지
0/300자
  • 푸른하늘
    • 2022-04-29 19:06:25
    • 삭제

    후세에 이름을 남기는 명사들에겐 훌륭한 친구, 아름다운 터전, 끝없는 열정이란 세가지 요소가 있어야 하나봅니다. 모네와 에소이 그리고 포기하지 않는 집념으로 이뤄낸 르누아르의 작품을 다시한번 꼼꼼히 바라보며 미술 속 거장의 삶을 음미해 봅니다. 그렇게 남긴 작품들이 메마른 현대인들의 마음을 촉촉히 달래주고 희망이 되고 행복을 줍니다. 눈 앞에 보이는 듯 옆에서 들리는 듯 묘사의 으뜸이신 교수님의 글도 또한 거장이십니다. 좋은 글 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

  • 고고
    • 2022-04-27 21:15:24
    • 삭제

    르누아르의 그림을 참 좋아하는데, 오늘은 그 그림이 탄생한 장소를 알게 되었네요. 오늘도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 황바울
    • 2022-04-27 17:05:31
    • 삭제

    교수님의 프랑스가 시적으로 다가오네요
    이쁜글에 예쁜 프랑스 참 좋아지네요

  • Lasqchocolat
    • 2022-04-27 10:39:38
    • 삭제

    언제나 마음에 여유가 찾아와야 비로소 내자신을 찾아가는것같아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교수님 ^^

  • 박미례
    • 2022-04-27 09:29:06
    • 삭제

    작가들이 동경하는 전원의 아뜨리에를 가질수 있었던 르누아르가 부랍네요 ㅎㅎ
    저도 여기저기 물색하고 있는데 낙향을 할까도 생각 중입니다
    모네의 지베르니는 가봤는데 여기도 가보고 싶군요 ㅎㅎ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