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6 (목)

  • 맑음서울 -2.3℃
기상청 제공

[최영묵의 미디어깨기] 김중배와 이지스톤

 

“‘기자’ 대신 ‘기레기’를 요구하는 자본”. 지난 6월 14일 KBS 아침 뉴스 한 꼭지의 제목이다. 이 보도에 따르면, KBS의 우리은행의 라임주가조작 관련 보도와 호반건설의 ‘2세 일감몰아주기’ 관련 보도에 대해 두 기업에서 해당 기자들을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걸고 개인재산 채권가압류를 신청했다. 겁주기를 위한 전략적 봉쇄소송이라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무죄판결이 나온다 해도 담당 기자들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재벌기업의 언론 장악시도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30년 전에 ‘김중배 선언’이 있었다. 1991년 동아일보는 두산에 의한 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을 집중보도했다. 대광고주 두산은 동아일보 사주를 통해 집요하게 보도 통제를 시도했고 이에 저항하던 김중배 편집국장은 결국 사퇴한다. 그 퇴임사가 바로 ‘김중배선언(1996.9.6.)’이다. “1990년대가 열리면서 우리는 권력보다 더 원천적이고 영구적인 도전의 세력에 맞서게 되었다는 게 신문기자 김중배의 진단입니다. 정치 권력만이 아니라 가장 강력한 권력은 자본이라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 없습니다.”

 

비슷한 시기인 1991년 가을 계간 『사상』에 “‘무관의 제왕’에서 ‘언론노동자(?)’로-취재현장에서 시름하는 한 일선기자의 고백”이라는 글이 게재되었다. 이 글은 언론에서 재벌과 언론사주를 비판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해졌다는 일선기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필자는 당시 조선일보에 재직중이던 고 이용주기자였다. 조선일보 노동조합 설립에 관여했고, ‘연희동 구타사건’ 특종을 하기도 했던 이기자는 1991년 12월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대기업에 의해 장악된 한국 언론의 민낯은 2017년 8월 터진 ‘장충기 문자 사건’을 통해 백일하에 드러났다. “와인 잘먹겠다.”에서 ‘삼성 백혈병보도 관련기자 인사 조치 결과보고’, ‘삼성과 언론 혈맹론’, ‘면세점 사업 도울 방법 문의’ 등등. 삼성그룹 장충기 사장에게 언론인들이 보낸 문자메시지를 보면 충격적인 것이 많았다. 주류 언론이 ‘대광고주’ 삼성 관련 주요 사안에 대해 자발적으로 충성경쟁을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고 리영희 선생은 1971년 유신 직전 집필한 ‘기자풍토 종횡기’(『창조』 1971년 9월호)라는 글에서 당시 기자 사회를 통렬하게 비판한 뒤, “기자가 마련하지 못한 것을 민중이 스스로 쟁취하려 하고 있다.”고 쓴 적이 있다. 언론사 기자도 그 본질은 시민이다. 기자로서 ‘기레기질’을 거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 시민으로 돌아가면 된다. 미국의 전설적 독립언론인 이지 스톤(I. F. Stone, 1907~1989)은 신문사에 다니다 퇴사한 후, 1953년부터 18년간 1인미디어 『주간 스톤』를 창간하여 운영했다. 『주간 스톤』은 독자적 보도와 논평으로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지난 2020년에 국내에 나온 『모든 정부는 거짓말을 한다』는 이지 스톤의 일대기를 정리한 책이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