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12.7℃
  • 구름많음강릉 9.8℃
  • 구름많음서울 12.9℃
  • 흐림대전 12.9℃
  • 구름많음대구 11.4℃
  • 구름많음울산 10.8℃
  • 흐림광주 14.2℃
  • 구름많음부산 13.8℃
  • 흐림고창 14.0℃
  • 제주 14.9℃
  • 흐림강화 12.5℃
  • 구름많음보은 12.1℃
  • 구름많음금산 12.4℃
  • 흐림강진군 14.5℃
  • 구름많음경주시 8.8℃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슬기로운 뉴스 생활] 노조 활동, 왜 불법으로 몰아붙이나

 

언론은 노동문제에 별 관심이 없다. 진보 성향 매체나 노동 전문 매체를 제외하면 노동 관련 기사를 애써 다루려 하지 않는다. 언론사 수익인 광고를 대주는 물주가 기업인 상황에서 노동조합(노조)이나 노동자를 중심에 둔 보도란 예외적 상황이라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사람이 죽거나 다치고, 노동쟁의가 일어나야 언론이 보도하니까 노동 관련 보도는 ‘노동문제’ 위주가 될 수밖에 없다. 곪았던 문제가 터진 상황이래도 기업이 언론을 상대로 광고로 거래하고, 취재 응대를 거부하면 그마저도 기사로 접하기가 쉽지 않다. 언론이 노동 주제를 적극 다루지 않으니까 노동을 둘러싼 공론의 힘은 약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 반도체 백혈병 분쟁의 경우만 해도 2007년 사태가 시작되었지만 2010년이 돼서야 언론이 조금씩 보도를 냈다. 이전까지만 해도 언론 상당수는 사태를 외면하고 침묵하는 태도를 보였다. 삼성의 최신 설비와 안전한 작업 환경을 부각한 보도가 훨씬 많았다는 이야기다. 반대로 노동자의 백혈병 피해 사실을 주장한 반올림의 목소리는 소외되거나 축소됐다. 그나마 삼성이 사태 해결에 나서겠다는 입장으로 2014년에 전환하자 비로소 노동 건강권에 대한 논의가 증가했고 언론도 덩달아 보도량을 늘리는 모습을 보였다.

 

노동자의 산업재해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 것도 따지고 보면 얼마 안 된 일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이 통과될 수 있었던 데에 경향신문의 ‘매일 김용균이 있었다...1748번의 죽음의 기록’(2019년)과 같은 심층보도가 한몫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OECD 회원국 중 산업재해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 매년 2000명가량 노동자가 사고나 질병으로 숨지는 상황을 모아보니 그 자체가 충격이었다.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선 작업장 자체 안전 문제도 중요하지만, 고용이나 교육, 노조 활동의 보장 등 개선해야 할 과제가 많았다.

 

이처럼 노동 분야가 관심을 덜 받고 의제를 만드는 힘이 취약하니까, 노조 활동을 부정적이고 불편한 그리고 기업의 경영 활동에 문제를 일으키는 집단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많다. 노조가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하는 상황에서 폭력적인 시위 방식을 부각하고 불법과 연관하게 한다. 질서를 어지럽히고, 교통체증을 일으키는 불결하고 불편한 대상으로 노조 자체를 부정적으로 낙인찍는다.

 

조선일보가 민주노총 건설노조 간부의 분신 사망을 두고 자살 방관을, 월간조선은 사망자가 남긴 유서가 대필이거나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유가족이나 목격자에게 사실 확인을 제대로 했다면 나오지 않았을 내용이었다. 기자의 추정을 담은 내용이 상당수다. 전국언론노동조합조차 ‘반저널리즘 행위’라고 규정하고 비판했다. 대통령과 장관부터 ‘건폭’(건설 현장 폭력 행위) 운운하며 엄정 대응 분위기를 조성하니, 언론이 갈등을 해결하긴커녕 없던 갈등조차 만들고 싶어진 것인지 묻고 싶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