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로 14명이 숨졌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있었다. 사고 당시 청주 지역 강수량은 기상청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비가 내리기 시작한 13일부터 참사가 발생한 다음 날인 16일까지 누적 강수량은 455.2mm로 지난 2021년 여름철 강수량인 446.6mm보다 많았다. 4일간 쏟아진 비의 양이 여름철 강수량을 합친 것보다 많다.
우리나라는 여름철이면 태풍이나 호우와 같은 계절성 재해로 인한 피해가 잦다. 인명 피해도 늘고 재산상 피해 규모도 커지는 추세다. 예년보다 빠른 장마와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내리는 ‘극한호우’ 빈도가 늘고 있다. ‘집중호우’는 시간당 30mm 이상 내리는 비를 일컫는다.
이에 반해 극한호우는 시간당 50mm 이상이면서 3시간에 90mm 이상인 강한 비를 말한다. 물폭탄 같은 강수량에 홍수와 침수를 유발할 위험이 크다. 극한호우에는 보행자가 보이지 않고 차량 와이퍼가 소용없을 정도로 시야 확보가 어렵다. 2011년 우면산 산사태와 지난해 서울 강남 침수 사고 등도 해당 지역에 시간당 100mm가 넘는 극한호우가 내렸던 사례다. 강한 비는 더 자주 내리고 반대로 약한 비는 줄어드는 경향이 늘면서 예상하지 못한 재해가 발생할 위험이 커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사람마다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이 다른 것도 고려해야 할 점이다. 재해 가능성을 심각하게 지각해서 대피를 서두르는 사람이 있지만, 눈앞에 심각한 위기 상황을 직면해도 위험의 발생 가능성과 영향을 과소평가하거나 무시하는 사람이 있다. 이상 상황으로 감지가 되어도 금방 정상으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잠깐만 지나면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애써 현실을 회피하기도 한다. 적극적으로 피하거나 대처할 생각을 해야 할 때인데도 아직은 덜 심각한 상황이라고 추론하는 ‘정상화 편향’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언론은 시기별로 자주 발생하는 재해 유형을 반복적으로 알려야 할 책임이 있다. 위험 상황에 대한 판단 기준과 대피 방법,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사전 대책이 무엇인지 반복해서 노출해 주어야 한다. 다양한 재해를 대처해본 경험으로 재난 예측과 대비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최근 기후 현상이 급변하면서 위험 지역이 새롭거나 넓어졌고 피해 양상도 다양해졌다. 따라서 재해 피해에 대한 복구도 중요하겠지만 예방에 중점을 두고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
사고 과정을 거꾸로 더듬어 꿰어 봐야 한다. 근처 하천에 홍수 경보가 떴었고, 지하차도에 금방이라도 물이 차올라 위험해 보인다는 신고까지 있었다. 그럼에도 사고가 일어날 것이라고 확신하지 못했던 이유, 그리고 사고에 제때 대응하지 못한 이유가 있을 것임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사고였다고 탓만 늘어놓을 때가 아니다. 대비와 대응이 미흡했던 까닭을 명확히 분석해야 같은 참사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