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3℃
  • 흐림강릉 23.7℃
  • 서울 22.7℃
  • 대전 23.5℃
  • 대구 24.5℃
  • 흐림울산 24.8℃
  • 광주 23.8℃
  • 부산 23.5℃
  • 흐림고창 24.1℃
  • 제주 27.0℃
  • 흐림강화 20.7℃
  • 흐림보은 24.2℃
  • 흐림금산 24.6℃
  • 흐림강진군 24.4℃
  • 흐림경주시 25.1℃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사설] 경기도 마을버스, 경영난·인력난 해소책 마련 시급

기사 과로, 배차 지연 등 악순환…지원체계 개선 절실

  • 등록 2023.10.16 21:00:00
  • 13면

경기도의 골목 골목을 누비며 도민들의 발이 되어주고 있는 마을버스들이 경영난·인력난으로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비용 증가, 승객 감소 등으로 운영이 점점 어려워지는 데다가 필수 인력마저 조달이 어렵다 보니 정상 운행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내몰리는 중이다. 버스 기사의 과로, 배차 지연 등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주민들에게 ‘교통 불편’의 불똥이 튀기 일보 직전이다. 마을버스가 멈춰 세워지지 않도록 지원체계의 개선이 절실한 시점이다.


경기도 내에서 운영되는 마을버스 업체는 모두 147곳으로서 버스 2137대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 중 757대는 운수종사자 조달이 어려워 운행을 못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 마을버스 834개 노선의 정상 운영을 위해서는 버스 1대당 2.6 명의 운수종사자가 필요해 산술적으로 필요한 인원은 7542명이다. 하지만 현재 마을버스의 운수종사자 수는 정원의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4230명에 불과하다. 정상 운행이 어려워지면서 버스 운수종사자의 과로, 배차 지연. 교통안전 취약 등 악순환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가 없다. 


업계는 경영난으로 재정 적자가 누적되는 형편에서 업체 대부분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운수종사자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채용을 한다고 해도 열악한 근무환경을 견디지 못해 2년을 채우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이직하는 것이 다반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족한 인원으로 감당해야 하는 배차시간 준수 의무는 지연 운행을 막아야 하는 압박을 오롯이 현장 종사자들이 받고 있어서 위험성과 과로 현상이 깊어지고 있다. 


업계는 승객 감소, 운송 원가 상승 등으로 재정 적자가 누적되는 상황인데도 시내버스에 비해 당국의 지원액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호소한다. 대중교통의 실핏줄 격인 마을버스가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재정 손실 지원 비율을 높여 달라는 요구다. 그러나 지자체 대중교통 담당자는 재정 여력이 없다며 난색을 표한다. 이래저래 마을버스에 의존하고 있는 도민들의 동네 교통 여건이 아슬아슬한 상태에 놓여 있는 셈이다. 


현재 도내 기초지자체는 마을버스 업체에 환승할인과 청소년할인에 의한 손실을 경기도와 매칭 방식(시군 70%·도 30%)으로 일정 부분 보전해주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마을버스 적자 노선에 대한 손실 비용까지 일부 지원하기도 한다. 이중 지원 금액 비율이 가장 높은 환승할인 손실보전율의 경우 버스당 보전 비율이 시내버스 36%, 마을버스 23%로서 금액으로 따지면 시내버스 1280억 원, 마을버스 230억 원 수준이다. 마을버스 지원 규모는 시내버스 지원의 20%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뜻이다. 


좋든 싫든, 마을버스는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민들에게는 이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교통수단이다. 마을버스 운행이 중단되거나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은 심각한 교통 불편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어떻게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과로에 겨워 졸음과 싸우며 근근이 운전하는 마을버스 기사가 신호대기 시간에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는 일도 있다니, 이 얼마나 위험천만한 노릇인가. 틈만 나면 ‘민생정치’를 외쳐대는 정치인들이 가장 먼저 돌아보아야 할 지점 아닌가.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