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의회가 인천만의 항만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항만 자치권을 확보하기 위해 발로 뛰고 있다.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및 항만 재개발 특별위원회는 지난해 8월 박창호 시의원(국힘, 비례)이 대표 발의한 ‘인천시의회 해양산업클러스터 및 항만 재개발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첫발을 뗐다.
특위에는 박 의원과 함께 김종배(국힘, 미추홀4)·박판순(국힘, 비례)·신성영(국힘, 중구2)·신영희(국힘, 옹진)·조현영(국힘, 연수4)·이순학(민주, 서구5) 시의원이 참여한다.
해양·항만특위는 시가 추진하는 해양산업클러스터 지정과 육성을 지원하고, 해양바이오·항만물류·해양관광 등 핵심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현안보고와 해외 선진사례 시찰, 항만시설 방문, 정책 세미나 등을 진행하면서 해양산업과 항만 재개발에 관한 현안들을 점검했다.
해양산업클러스터는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해양산업과 해양연관산업의 집적·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해 기능이 떨어진 유휴항만시설을 다른 산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역을 말한다.
시는 오는 2028년까지 남항 유휴항만시설을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 6월에는 ‘해양산업클러스터 개요 및 도입방향 정책세미나’를 열어 해양산업클러스터가 무엇인지, 어떤 산업이 들어오는 게 적합한지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인천은 공항을 지닌 도시다. 이를 활용해 바이오나 반도체, AI 산업을 유치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항만 분권 강화를 위해 지방해양수산청과 항만공사를 지방정부로 이양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한다. 이미 제주도와 강원도 등은 지방해양수산청을 지방정부로 이양했다.
해양·항만특위는 1년 더 활동을 이어 나간다.
당초 지난 2022년 8월 30일부터 2023년 8월 29일까지 활동할 계획이었지만, 유정복 시장의 핵심 공약인 뉴홍콩시티와 제물포르네상스, 내항 1·8부두 재개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위원회 활동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뉴홍콩시티와 제물포르네상스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해양산업클러스터 지정·육성 사업, 지방해양수산청 및 항만 공사의 지방정부 이양 등의 과제들을 지속해 나간다.

박창호 해양·항만특위 위원장 “인천, 해양 도시 발전하려면 해양대학 유치 필요”
박창호 위원장은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 부위원장이다.
특위에 참여하는 의원들 모두 바다가 가까운 지역구에서 활동한다. 이 덕분에 상임위원회보다 전문성을 가지고 해양·항만 사업을 볼 수 있다.
박 위원장은 향후 주요 활동 과제 중 하나로 해양대학, 해양수산대학 등 해양관련 교육기관 인천 유치를 꼽았다.
인천에는 인천해양과학고와 인천해사고 등 해양 관련 고등학교가 2개 있다. 하지만 해양대학은 없어 지역인재가 부산·목포 등으로 유출되는 상황이다.
인천만의 해양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교육부, 인천시에 관련 의견을 건의할 계획이다.
그는 “국내에는 해양대학이 목포와 부산 두 곳에만 있기 때문에 해양항만청이나 인천항만공사 간부들도 대부분 목포와 부산해양대학 출신이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에는 해양분야 전문 교육기관이 부족해 인재를 배출하기 어렵다”며 “교육 기관을 유치해 인재를 양성해야 인천시가 해양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양·항만특위의 활발한 활동을 위한 예산 지원의 필요성도 이야기했다.
박 위원장은 “인천시는 바다를 둘러싸고 있는 해양도시다. 내항 재개발, 해양클러스터 조성 등 해야 될 일이 참 많다”며 “하지만 특위이기 때문에 상임위처럼 별도로 예산 지원이 되지 않는다. 정기적으로 회의를 하고 현장을 다니며 여러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샛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