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의 여론조사 결과 경기도민 대다수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공교육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민 대부분이 다문화가정을 보살피는 일이 우리나라 미래를 개척해가는 매우 소중한 과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는 청신호다. 중앙은 물론 지방정부가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전방위적인 지원 확대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미래희망을 담보하는 최소한의 방책이기도 하다
도 교육청은 지난달 17일부터 8일간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 12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방식으로 ‘경기 다문화교육 추진에 대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해 공교육의 지원이 필요한지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79.6%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도 교육청이 추진하는 지역 특색에 맞는 지역 맞춤 다문화교육센터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79.8%가 공감했다.
다문화교육센터에서 운영해야 할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어 교육(34.4%), 심리정서 교육(30.5%), 문화예술 교육(19.5%), 이중언어 교육(14.6%) 등을 차례로 꼽았다.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을 묻는 항목에서도 한국어 교육을 택한 응답자가 55.0%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문화 이해 교육(29.9%), 모국어 교육(9.0%), 세계시민 교육(5.3%)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거주 외국인 비율이 5%에 육박하면서 우리나라는 이제 다인종 국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베트남과 중국을 중심으로 이주민이 증가함에 따라 전국의 다문화 학생 수는 전체 학생의 3.5%에 해당하는 18만1000명으로 10년 새 3.2배가 늘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학생이 한국어가 서툴러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초중고교 학업 중단율은 전체 평균보다 높고, 대학 진학률도 40.5%로 국내 학생들과의 격차가 커지는 추세다.
지난 5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다문화 학생들은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하는 능력이나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는 자립 역량 모두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주요인이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분석됐다. 또 대개 학생은 부모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해 진로 역량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문화 학생들 부모 세대의 한국어 교육도 강화해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는 얘기다.
다문화 한국어 교육은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 꼭 필요한 교육이다.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경우부터 줄여나가야 한다. 전문가들은 한국어 교원 양성체계 구축과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구가 현장과 함께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단지 우리 사회가 떠안아야 할 부담으로 생각하는 인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 그들은 글로벌 시대에 국제경쟁력을 지닌 국가 인재로 키워내야 할 투자 대상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들이 얼마나 빨리 내국인과 동화되고 능력 있는 인재가 되는지에 따라서 나라의 위상과 경쟁력이 달라질 수 있다. 경기도민들은 이미 준비가 돼 있음이 입증됐다. 국가와 경기도 행정기관들의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