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가 천문학적 액수의 토지와 건물을 전국에 대규모로 보유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12조 원에 육박하는 해당 부동산들은 장부가액으로 오랜기간 유형자산에 대한 자산재평가가 이뤄지지 않아 실제 가치는 더욱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22일 4대 금융그룹이 공시한 3분기 분기보고서를 보면 이들은 6조 9281억 원의 토지와 4조 8428억 원의 건물을 '영업 설비'로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총액은 11조 7771억 원에 달한다.
보유 부동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KB금융으로 타 금융그룹 대비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KB금융은 은행을 비롯한 7개 계열사가 토지 2조 2569억 원, 건물 2조 2448억 원 등 총 4조 5018억 원의 부동산을 보유했다.
나머지 3개 금융그룹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신한금융은 토지 1조 7630억 원, 건물 6495억 원 등 2조 4124억 원을, 하나금융은 토지 1조 4221억 원, 건물 1조 171억 원 등 2조 4392억 원을, 우리금융은 토지 1조 4861억 원, 건물 9314억 원 등 2조 4175억 원을 각각 보유했다.
이는 장부가액 기준으로 시가와의 차이는 상당할 것으로 추산된다. 장부상 가격이 취득 당시 가격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시가보다 낮고, 특히 토지의 실제 가격은 수 배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은행 지점이 대부분 역세권 등 교통 요지에 있어 부동산 가격 상승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금융그룹의 한 관계자는 "10년 넘게 자산재평가를 하지 않았다"라며 "건물 포함 시가는 장부가액보다 약 30~40% 정도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자산재평가는 금융사의 자기자본비율을 높여 재무건전성 개선 효과가 있지만, 법인세 등 세 부담 증가 우려로 회사들이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금융그룹들이 상생협력 방안으로 전국의 부동산 및 지점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우리금융이 내년 1월부터 전통시장 인근 은행 지점 20여 곳의 주차장을 주말 동안 시장 이용객에에 개방하기로 한 것이 대표적 예로 언급되고 있다.
[ 경기신문 = 백성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