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주주총회에서는 소유분산기업의 지배구조 개편, 기관 투자자의 주주권 행사, 경영권 분쟁 심화, 개선된 배당 정책 등이 주요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특히 4개 기업은 경영권 분쟁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아주기업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4 정기 주주총회 프리뷰’에 따르면 오는 3월 본격 진행될 주총에서 이들 네 가지 주제가 주목할 만한 쟁점으로 꼽힌다.
연구소는 소유분산기업의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 “최고경영자는 기업 경영 전반에 크고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자 추출, 사외이사 포섭, 우호 주주 확보 등을 통해 참호를 구축하고 연임을 도모하는 등의 병폐 여지가 크다”고 했다.
특히 “기업의 사업다각화, 신(新)시장 개척 등 경영 혁신을 통한 성과 창출 및 기업 경쟁력 확보는 등한시하고 최고경영자의 자리보전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늘 존재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에 따라 '큰 손'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이 기금운용본부 내 지배구조개선자문위원회를 설치해 소유분산기업의 지배구조 방향을 제시하기로 했으며, 금융당국은 '은행지주·은행의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 관행'을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소는 “일부에서는 정부·정치권이 소유분산기업의 지배구조에 개입한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는 결국 기업 내·외부에서 수긍할 만한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최적의 최고경영자 선임 여부 및 그 과정의 투명성과 정당성으로 좌우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2023년 정기 주총 결과 주주 제안 안건이 거의 부결됨에도 2024년 정기 주총에서 기관 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는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앞서 기관투자자는 현대엘리베이터, 삼성물산, KT&G, 7대 상장 금융지주 등을 상대로 주주 서한을 보냈다.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는 주주 제안 안건 상정을 예고했다. 상법에 따르면 주주 제안은 주총일 6주 전까지 해야 한다. 대부분의 상장사가 정기 주총을 3월 중순과 하순에 여는 점을 고려하면, 이달 말∼2월 초 사이에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는 “일각에서는 (주주 제안을) 단기 투자자를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보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할 수 있다”면서 “기관 투자자는 장기 투자자 관점에서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안건을 제안해 가결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연구소는 올해 정기 주총에서 “기업의 경영권 분쟁이 다시금 화두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금호석유화학, 한국앤컴퍼니, 남양유업, 한미약품그룹 등을 예로 들었다.
연구소는 “경영권 분쟁은 기업이 처한 문제점을 해결해 가는 긍정적인 과정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며 “분쟁 주체를 둘러싼 이사진의 경영 전문성과 투명성, 혁신성, 중장기 경영 계획, 법률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건전한 지배구조가 구축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