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5 (월)

  • 흐림동두천 14.0℃
  • 구름많음강릉 13.5℃
  • 흐림서울 14.6℃
  • 구름많음대전 15.2℃
  • 흐림대구 14.5℃
  • 흐림울산 13.5℃
  • 구름많음광주 15.6℃
  • 흐림부산 14.8℃
  • 구름많음고창 15.8℃
  • 흐림제주 16.0℃
  • 구름많음강화 14.2℃
  • 구름많음보은 13.2℃
  • 구름많음금산 15.9℃
  • 구름많음강진군 15.4℃
  • 흐림경주시 14.0℃
  • 구름많음거제 14.5℃
기상청 제공

[슬기로운 뉴스 생활] 여론조사 불신의 이유

 

4월 총선을 앞두고 전화 여론조사가 늘었다. 모르는 번호면 여론조사겠거니 받지 않거나 수신 거부를 했는데 얼마 후 또다시 전화가 걸려 온다. 혹시나 해서 전화를 받으면 어김없이 여론조사 녹음 소리다.

 

바빠서 못 하는 것도 있지만 여론조사 결과를 신뢰하지 않아 일부러 피한다는 사람들이 많다. 설문에 응답하는 사람의 경우 어떤 질문에든 답할 준비된 상태일 확률이 높은데, 그래서 정당이나 후보 이름만 들어도 어떻게 선택할지 결정의 시간을 크게 들일 필요가 없으니 응답을 수월하게 느낀다. 반대의 경우라면 질문의 내용과 선택해야 할 내용만 들어도 선택결정 어려움 앞에서 피로를 직감한다. 자연스레 응답을 피한다. 정치 관여도가 높은 응답자 확보가 많은 조사라면 모집단 전체 표심과는 다른 분포를 보일 수 있다는 의미다. 흔히 중도층이나 무당층으로 불리는 스윙보트가 여론조사에 얼마나 참여하느냐가 조사의 신뢰를 좌우한다고 보는 까닭이다.

 

여론조사 결과를 신뢰하기는 어려우나 현실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후보 공천부터 정부 정책까지 결정의 근거로 삼는 게 여론조사인 경우가 많아서다. ‘여론조사 결과가 곧 여론’인 현실은 선거철만 되면 여론조사기관이 성황을 이루는 것만으로 짐작 가고 남는다.

 

언론사 내부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는 풍경이 많다. 후보 선호도 조사를 했는데 다른 기관과 결과가 다르면 이대로 보도를 내도 괜찮은지 우왕좌왕하는 식이다.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이 벌어졌다는 표현은 앞섰다거나 우위를 점했다는 단정적 표현보다 일부 나아진 표현이긴 해도 단편적인 정보라는 점에서는 별반 다르지 않다.

 

표본의 수나 응답률이 작은 것은 어떤가? 3월 둘째 주 전국 단위 선거여론조사 7건의 주요 데이터를 정리한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발표를 보면 조사별 표본수는 2천명 내지 1000명이다. 접촉률은 18.1%~36.2%로 응답자가 전화를 받거나 응답을 시작했으나, 최종 모든 질문을 완료했다고 보는 응답률은 3.9%~14.7%로 한참 낮다. 사람이 녹음한 소리를 들려주느냐 기계음 질문을 들려주느냐 사람이 직접 문항을 읽느냐처럼 조사 방식의 차이가 응답률에 영향을 미친다.

 

조사 시점도 중요하다. 지지하는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선호는 조사 당시 응답자가 인지하는 상황적 요인을 고려한 결과이기도 해서다. 언론의 의제 설정과 이슈 프레임이 얼마나 지각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선호 의사를 바꿨다기보다는 조사에 응하는 집단이 달라진다. 한마디로 단기적 쏠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언론은 여론조사가 모집단의 극히 일부의 의견을 확인하는 장치라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식이나 민심을 정확하게 대변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전제를 깔고 보도해 주었으면 한다. 여론조사에 대한 대중적 불신의 원인은 숫자가 아니라 이를 이용하는 언론과 정치에 있다는 점을 우리 모두 알지 않는가.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