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4.5℃
  • 흐림강릉 22.6℃
  • 흐림서울 24.5℃
  • 흐림대전 24.1℃
  • 흐림대구 29.2℃
  • 흐림울산 26.4℃
  • 흐림광주 24.4℃
  • 흐림부산 24.3℃
  • 흐림고창 23.7℃
  • 흐림제주 27.1℃
  • 구름조금강화 25.9℃
  • 흐림보은 23.9℃
  • 흐림금산 25.5℃
  • 흐림강진군 24.9℃
  • 흐림경주시 27.6℃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말로만 ‘여성친화'도시?...인천서 알맹이 없는 정책만 수두룩

인천시 중 강화·옹진군 제외한 8개 구 전부 여성친화도시
그러나 특색있는 사업 부족하고
구민참여단 내 남성 비율 낮아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전락할 우려 있어


2022년 대통령상을 수상한 충남 아산시는 전국 최초로 ‘성매매 피해 여성의 탈성매매와 자활 지원을 위한 조례’를 제정했다. 

 

전국 최초로 여성친화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데 공을 들여 장미마을을 양성평등거리로 탈바꿈했다. 

 

2023년에 국무총리상을 받은 수원시 여성친화도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사업과 공직자·시민의 인식 두 측면에서 모두 여성친화적으로 만드는 데 중점을 뒀다. 

 

수원시는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 가족친화 환경 조성 등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과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육 참여자만 16만 7000여 명에 달한다. 

 

올해 5300여 명에 달하는 전 공무원과 협업기관 종사자들이 성평등한 공직문화 조성에 이바지하겠다는 실천의지를 다짐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캠페인에 동참했다.

 

반면 인천 지역 내 8개 도시가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된 가운데, 정작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인천 지역 여성친화도시는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아직 갈 길이 멀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져간다. 

 

인천 현재 8개 구는 ‘여성친화도시’로 선정돼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시행 중에 있다.

 

올해 여성친화도시 13년차를 맞이하는 부평구는 관련 정책으로 방범용 CCTV설치·운영 및 통합체계센터 구축, 여성이 편리한 공중화장실 구축,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사업(안심마을‧안심골목길 조성, 방범시설 설치) 등을 실시하고 있다.

 

8년차가 된 미추홀구도 경력단절 여성 경제활동 지원을 위한 여성전용 창업커뮤니티 운영, 돌봄노동자(돌봄활동가) 지원 사업, 성인지 통계 구축 계획,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등을 벌이고 있다.

 

다른 구들의 사업 내용도 대체로 엇비슷하다. 그러나 정작 구민들은 ‘여성친화도시’ 사업 자체를 모르거나 공감하지 않는 분위기다.

 

부평구에서 20년 이상을 거주하고 있는 50대 여성 임 모씨는 “부평구가 여성친화도시라는 사실을 몰랐다”며 여성친화도시란 개념은 물론 구가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서도 “처음 들었다”며 낯설어했다.

 

이외에도 도시 명칭에서부터 ‘여성친화’라는 단어가 쓰여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지역 모니터링을 위해 모집한 남동구 여성친화도시 구민참여단에서 정원 30명 중 남성의 수는 2~3명에 불과했다. 

 

올해 모집된 계양구 구민참여단도 전체 25명 중 남성은 2~3명뿐이다.

 

시민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데다가 여성친화도시 정책과 관련해서도 ‘보여주기식 행정’에 가깝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남동구 관계자는 “‘여성친화도시’라는 명칭과 정책 취지에 맞는 홍보 및 안착을 위해 각 부서 간에도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고 있다”며 “종합병원과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한 남동구의 지역적 특색도 고려해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약국사무원 양성과정 등 사업을 시행해왔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