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6℃
  • 구름많음강릉 27.5℃
  • 맑음서울 25.9℃
  • 구름많음대전 24.9℃
  • 구름많음대구 25.2℃
  • 구름많음울산 25.1℃
  • 구름많음광주 24.9℃
  • 흐림부산 25.7℃
  • 구름많음고창 25.0℃
  • 흐림제주 22.9℃
  • 맑음강화 25.2℃
  • 구름많음보은 23.3℃
  • 구름많음금산 23.5℃
  • 구름많음강진군 24.9℃
  • 구름많음경주시 26.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고향사랑 부족한 인천…기부금 사업도 ‘막막’

지난해 인천 모금액 7억 6800만원에 그쳐
1억원 넘은 지자체 강화군·부평구 단 2곳뿐

 

고향사랑 지정기부가 시작됐으나, 인천은 첫발을 떼기까지 갈 길이 멀다.

 

지난해 인천에 모인 고향사랑기부제 모금액은 약 7억 6800만 원에 그쳤다. 전국 1위였던 전남 담양군(약 22억 4000만 원)과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금액이다.

 

올해 인천시와 9개 군·구는 모금액을 쓰기보다는 우선 금고에 넣어두길 택했다. 자칫 일회성 사업에 그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일반기부는 기부자가 원하는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는 것으로, 어떻게 모금액을 활용할지 결정하는 건 지자체의 몫이었다.

 

반면 지정기부는 미리 준비된 지자체의 ‘사업’에 기부하는 형태다. 행정안전부는 기부의 만족감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인천 지자체의 경우, 일단 한 발짝 물러났다.

 

지금도 저조한 실적으로 일반기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지정기부는 모금액을 달성해야 하는 만큼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인천시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일반·지정기부 사업을 부서와 논의해 발굴하고 선정할 계획”이라며 “시의회 의결도 거쳐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시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지정기부는 일정 기간 안에 모금액이 달성돼야 하는 만큼 규모 등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며 “당장 지정기부를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인천에서 1억 원 이상 모금액이 걷힌 건 단 2곳이다. 강화군과 부평구는 각각 1억 3200만 원, 1억 100만 원을 모았다.

 

이어 ▲미추홀구 9700만 원 ▲연수구 9700만 원 ▲인천시 7900만 원 ▲서구 6800만 원 ▲계양구 6600만 원 ▲옹진군 3900만 원 ▲남동구 3800만 원 ▲중구 2600만 원 ▲동구 2500만 원 순이다.

 

그나마 모금액이 많았던 부평구는 일반기부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올해 청소년 ‘쉼&노리’ 공간 조성(3000만 원), 장애 아동·청소년 성인권 교육(800만 원), 드림스타트 아동 역사문화탐방(2100만 원) 등을 진행한다.

 

부평구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사업을 모집해 하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현재 지정기부 사업은 아직 선정하지 못했다. 목표 모금액을 달성해야 시작할 수 있다 보니 사업 부서와 함께 아직 발굴 중”이라고 말했다.

 

살림이 넉넉지 않은 다른 지자체는 지정기부는커녕 아직 일반기부 사업도 엄두를 못 내는 실정이다.

 

중구 관계자는 “아직 모금액이 적어 구체적으로 나온 계획은 없다”며 “우선 모금액이 5000만 원은 돼야 뭔가 시도를 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올해도 전반적으로 높은 추세는 아니라 아직 사업을 계획할 단계는 아니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