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0 (목)

  • 맑음동두천 23.8℃
  • 구름조금강릉 26.2℃
  • 구름조금서울 27.6℃
  • 구름조금대전 24.9℃
  • 흐림대구 26.3℃
  • 구름많음울산 24.5℃
  • 구름많음광주 23.5℃
  • 흐림부산 23.2℃
  • 흐림고창 21.5℃
  • 흐림제주 23.2℃
  • 맑음강화 22.2℃
  • 구름조금보은 21.6℃
  • 구름많음금산 21.5℃
  • 흐림강진군 21.5℃
  • 구름많음경주시 25.0℃
  • 흐림거제 22.3℃
기상청 제공

수도권서도 중요성 커진 ‘생활인구’ 데이터…인천만 제자리

인천, 주거·직장·방문 등 3개 분야…기초자료만
공동생활권인 서울·경기 데이터 확보에 ‘집중’

 

생활인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인천시는 아직 손 놓고 있다.

 

인천시는 2018년부터 인천디지털시정을 통해 주거·직장·방문 등 3개 분야의 생활인구 분석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적인 성연령별·시간대별 자료로 구체적이지 않다. 정책개발에 실제 활용하긴 어렵다는 얘기다.

 

최근 인구감소 추세가 이어지면서 전국에서 생활인구 늘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생활인구는 기존 주민등록 인구뿐만 아니라 월 1회·하루 3시간 이상 머무는 사람과 외국인으로 구성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7곳의 생활인구를 시범 산정한 데 이어 올해부터 89개 인구감소지역 전체로 확대한다. 인천에서도 강화·옹진군이 해당한다.

 

인천시는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시행계획을 세웠고 4개 전략·12개 실천과제를 정했다. 실천과제에는 ‘체류 주민 확보를 통한 생활인구 확대’도 포함했다.

 

게다가 수도권은 공동생활권으로 묶이는 만큼 기반시설·교통망 구축 등 도시계획을 세울 때 생활인구 개념이 필요하다.

 

발 빠르게 서울시와 경기도는 데이터 확보에 나섰다.

 

서울시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해 공개 중이다. 교통 편의성 향상과 정주여건 개선 등 수도권 주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정책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11개 시·군과 함께 ‘민간데이터 공동구매’ 사업 진행했다. 생활이동인구 상황판도 만들어 시각적으로 생활인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인천시는 아직 별다른 계획이 없다.

 

올해 예산도 그동안 구매해온 데이터 관련 1억 8700만 원이 전부다. 이대로라면 수도권 공동 사안을 논의할 때 다른 두 지역에 밀릴 수도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일시적으로 유동인구 데이터를 구매했는데 활용도가 높아서 내년에는 추가로 유동인구 데이터까지 구매할 계획을 잡고 있다”며 “그 외 데이터는 활용 수요나 목적이 있어야 구매할 수 있다. 현재 수요를 파악 중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