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먹는 하마’로 불리는 인천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체계 개선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시정 자문기구인 인천시 시정혁신단은 지난 21일 제33차 전체회의 ‘버스 준공영제 개선 대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완전 공영제’의 도입 타당성을 따져보고, 개선방안을 들었다.
먼저 ‘버스 준공영제는 계속 시행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석종수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부장이 대표발표에 나섰다.
2023년 한국운수산업연구원 조사결과에 따르면 버스 준공영제 이후 버스 대당 재정지원금이 시행 전인 2003년 600만 원에서 시행 후인 2020년 9300만 원으로 1450% 증가했다.
버스 대당 연간 수송 인원에 대한 인건비도 시행 전 59만 원에서 시행 후 1132만 원으로 182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석 부장은 선진외국의 버스경영방식 변화와 운영체계 등을 소개한 뒤 인천시의 버스운영체계는 어떻게 가야 할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대표 토론에 나선 윤숙진 시 버스기획팀장은 완전 공영제 전환 시 소요 재원(2027년 인수 시)으로 1조 원이 소요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업체 거부 및 과도한 인수 비용 발생 ▲지자체의 재정 부담 증가 ▲관료화 등 비효율 증가 등이 우려되기 때문에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시와 서울시의 시내버스 공영제 타당성 및 준공영제 혁신용역 결과를 소개하며, 모두 현재의 준공영제 운영체제가 최선의 선택이라는 결과를 얻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인천시는 개선방안으로 ▲안정적인 준공영제 정착을 위한 법적 제도화 기반 ▲운송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요금인상 제도화 ▲지속 가능성을 위한 관리방안 등을 제시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