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이 ‘만차’인지 모르니 찾아가도 헛고생이에요.”
8일 오전 찾은 미추홀구 법조타운 먹거리촌. 인천지법과 변호사 사무실을 찾는 차량으로 거리는 빈틈이 없다. 곳곳에 사설·공영주차장이 조성돼 있으나, 흘러넘친다. 재판 시간대에는 법원에 들어가려는 차량으로 정체가 생기는 게 일상이다.
인근에 사는 A씨(65)는 “이곳에서 불법 주차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오전에는 재판 때문에 더 정신이 없다”며 “주차장이 있어도 주차수요를 감당하기엔 주차면 수가 턱없이 적다”고 꼬집었다.
같은 날 문학동 일대도 마찬가지다. 자판기 속 음료처럼 골목길마다 차량이 나란히 정렬돼 있다. 이곳에 사는 주민들은 많은데, 막상 차량을 주차할 공간은 적어서다. 빌라가 주를 이루는 만큼 골목길 빈틈이 주차장인 셈이다.
주차난으로 남동구 인천시청 인근도 몸살을 앓고 있다.
낮에는 직장인, 밤에는 주민들의 차량으로 골목골목이 가득하다. 거리는 주차된 차량으로 비좁다. 바닥에 적힌 ‘어린이보호구역’이 절반도 안 보이는 수준이다. 한 흰색 차량이 자리를 못 찾았는지 거리를 정처 없이 떠돌고 있다.
인도를 침범하는 일도 다반사다. ‘불법주정차 절대금지 적발 즉시 단속’이라는 현수막이 걸려있으나, 무용지물이다. 수시로 오가는 차량 때문인지 곳곳의 보도블록이 뒤틀린 상황이다.
자차로 출퇴근하는 B씨(32)는 “매일 주차할 자리를 찾는 게 일이다. 여름이라 더운데 주차할 자리 찾느라 더 열 받는다”며 “주차할 곳이 없어 몇 바퀴를 돌기도 한다”고 토로했다.
이날 인천시의회에서도 원도심 주차환경 개선을 위한 스마트 주차기술 도입의 필요성이 논의됐다.
‘인천 스마트 주차정책포럼’을 운영 중인 김대중 건설교통위원장은 “원도심 내 공영 주차장의 요금이 일률적으로 적용돼 오히려 장기주차 문제와 주차공간 부족현상으로 이어진다”며 “공영주차장의 주차요금을 이용 시간대와 이용객에 따라 다르게 부과하는 방안도 효과적인 개선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토론회의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도 원도심 주차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이 실현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2021년 기준 인천지역 차량 수는 167만 대·주차면 수는 139만 면으로, 주차장 확보율은 82.8%에 그친다. 주차수요 대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얘기다.
그나마 늘어난 주차장도 신도시 위주라 원도심만 보면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구별로 주거지 주차장 확보율을 살펴보면 남동구가 61.2%로 가장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부평구 67.1%, 계양구 66.0%, 미추홀구 72.7%, 서구 74.8% 순으로 적다. 인천시 평균도 79.7%에 그친다.
그만큼 시민들이 일상에서 불편을 겪고 있는 셈이다.
최근 스마트 주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스마트 주차는 운전자에게 주차장 정보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주차공간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스마트 주차를 통해 주차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독일의 경우, 출발할 때부터 목적지를 입력하면 주변에 있는 주차공간을 찾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을 갖췄다.
석종수 인천연구원 박사는 “원도심에서는 더는 주차면을 공급하기 힘들다. 예산 문제를 떠나서 토지확보 자체가 어렵다”며 “기존에 공급되고 있는 주차장의 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불법으로 주차하는 이유를 보면 스마트 주차의 필요를 알 수 있다”며 “절반 정도가 주차장이 어딨는지와 가는 주차장의 정보를 몰라서다. 주차정보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시는 공용 주차장 내에 스마트 주차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며 “향후에는 주차장을 이용하려고 하는 시민들까지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