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부동산 시장에서 1500세대 이상 대단지 아파트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전반적인 아파트 가격 상승세 속에서도 대단지 아파트는 평균을 훨씬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하며 투자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
28일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1~9월) 전국 아파트 3.3㎡당 가격상승률은 0.95%(2089만→2109만 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아파트 세대 규모별 가격상승률을 살펴보면 ▲300세대 미만 0.05%(1846만→1847만 원) ▲300~499세대 0.33%(1836만→1842만 원) ▲500~699세대 1.29%(1838만→1855만 원) ▲700~999세대 0.16%(1876만→1879만 원) ▲1000~1499세대 0.39%(2046만→2054만 원) ▲1500세대 이상 2.13%(2722만→2782만 원)로 나타나며 1500세대 이상 대단지가 평균 가격상승률의 두배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전국 아파트 가격 상승을 견인하며 1.8%(4045만→4119만 원)의 상승률을 기록한 서울의 1500세대 이상 대단지 아파트는 3.32%(4430만→4582만 원)로 3%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1500세대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들의 경우 풍부한 단지 내 편의시설과 생활 인프라를 바탕으로 수요와 환금성이 높다”며 “반면 높은 수요와는 반대로 공급은 희소하기 때문에 입주 후 매매가격 상승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공급된 신규분양 아파트는 223개 단지로 이중 1500세대 이상 규모의 신규 분양단지는 22개로 전체 공급단지 대비 약 9.8%에 불과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1500세대 이상의 대단지는 청약시장에서도 수요자들의 통장이 몰리고 있다. 지난 2월 626.9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메이플자이’(3307세대)를 비롯해 90.28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디에이치방배’(3064) 등 대단지 아파트들이 우수한 청약성적을 거뒀으며, 올해 전체청약자 중 19.79%(123만 7053명 중 24만 4831명)에 해당하는 인원이 1500세대 이상의 대단지 청약에 나서며 대단지 아파트에 대한 선호를 보였다.
기존의 아파트 시장에서 높은 가격상승률과 희소성을 바탕으로 수요자가 몰이에 나설 1500세대 이상의 대단지들이 다음 달 공급을 앞두고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서울원 아이파크’ 공동주택을 분양할 예정이다. ‘서울원 아이파크’ 주거시설은 총 15만㎡ 부지 중 약 7만 7586㎡ 부지에 분양형 공동주택 1856가구, 공공임대 408가구, 레지던스 768실 등 총 303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현대건설은 대전 유성구 학하동 일원에 ‘힐스테이트 도안리버파크 2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4층, 14개 동, 전용면적 59~170㎡ 총 2082가구 중 1616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포스코이앤씨와 영무건설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노송동 일원에 ‘전주 기자촌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분양한다. 단지는 지상 최고 25층, 28개 동, 전용면적 39~117㎡ 총 2226가구 중 1563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