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6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인천시교육청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3일 오전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비정규직의 불합리한 임금구조 개선을 위해 2년째 임금체계 노사협의를 이어오고 있다”며 “사용자 측은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우리의 권리를 찾기 위해 총파업에 나선다”며 “정부와 교육당국은 총파업 투쟁에 응답해 교섭 타결을 위한 해법을 제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6월부터 시작된 임금교섭은 아직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 상황이다.
전국학비연대는 ▲기본급 정상화 ▲근속에 따른 임금격차 해소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임금체계 개편 등을 요구 중이나, 노사 간 임금교섭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학교에서 급식·돌봄 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앞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고, 전체 조합원의 93.2%가 찬성해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인천지역 찬성률은 95.8%로 집계됐다.
‘인천 총파업대회’는 오는 6일 오전 10시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열릴 예정이다.
인천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급식과 돌봄교실 운영 등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해 3월 총파업 당시에는 인천지역 학교 164곳이 빵과 우유 등 대체급식 또는 간편식을 제공했다. 초등돌봄교실은 모두 정상 운영됐고, 유치원 방과후과정은 197곳 중 1곳만 운영하지 않았다.
시교육청은 코앞으로 총파업이 다가온 만큼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달 28일에는 각 학교에 ‘파업 대응 방안’ 관련 공문을 배포했다.
이 방안에 따라 학교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해 상황을 안내했고, 학교급식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대체급식 여부 등을 결정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에 총파업 관련 대응 방안을 보냈다”며 “수요조사를 통해 급식 여부를 결정하고, 초등 돌봄의 경우 파업 미참여 돌봄전담사를 활용하거나 대체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안내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